구약성경(히브리 성경, Tanakh)은 현재 우리가 보는 배열과 실제 기록된 순서가 다르다. 원래 구약은 유대인들이 오랫동안 구전(口傳)으로 전승하다가, 시대별로 기록되었으며, 종교적·역사적 필요에 따라 문서가 추가되었다.
다음은 구약성경의 기록 순서를 연대별로 정리한 것이다.
구약성경 기록 순서 (연대별 정리)
1. 토라(모세오경) – 기원전 1400~1200년경
가장 먼저 기록된 것은 모세오경(창세기~신명기)으로, 이는 유대교와 기독교 신앙의 뼈대를 이루는 경전이다.
- 창세기 (Genesis) – 기원전 1400~1200년경
- 출애굽기 (Exodus) – 기원전 1400~1200년경
- 레위기 (Leviticus) – 기원전 1400~1200년경
- 민수기 (Numbers) – 기원전 1400~1200년경
- 신명기 (Deuteronomy) – 기원전 1400~1200년경
📌 특징
- 모세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전해지며, 유대인들의 창조 신화, 율법, 출애굽(이스라엘 해방 이야기)이 포함되어 있다.
- 이스라엘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신과의 언약을 중심으로 한 율법을 제시한다.
2. 역사서 – 기원전 1000~500년경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정착하고 왕국을 세우면서 기록된 역사적 문서들이다.
- 여호수아 (Joshua) – 기원전 1000~900년경
- 사사기 (Judges) – 기원전 1000~900년경
- 룻기 (Ruth) – 기원전 950~850년경
- 사무엘상·하 (1 & 2 Samuel) – 기원전 900~800년경
- 열왕기상·하 (1 & 2 Kings) – 기원전 900~700년경
- 역대상·하 (1 & 2 Chronicles) – 기원전 500~400년경
- 에스라 (Ezra) – 기원전 450년경
- 느헤미야 (Nehemiah) – 기원전 450년경
- 에스더 (Esther) – 기원전 400년경
📌 특징
-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정착한 후의 역사, 왕정 시대, 바벨론 포로기 이후의 복귀를 다룬다.
- 사무엘서와 열왕기서는 다윗과 솔로몬 시대를 포함하여 왕국의 흥망성쇠를 기록하고 있다.
- 역대기는 이스라엘 역사를 다시 해석한 신학적 역사서다.
3. 예언서 – 기원전 800~400년경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신과의 언약을 지키지 않았을 때 받을 심판과 구원의 메시지를 기록한 책들이다.
(1) 전기 예언서 (기원전 800~600년경) – 선지자들의 활동
- 아모스 (Amos) – 기원전 760~750년경
- 호세아 (Hosea) – 기원전 750~730년경
- 이사야 (Isaiah) – 기원전 740~700년경
- 미가 (Micah) – 기원전 735~700년경
(2) 후기 예언서 (기원전 600~400년경) – 바벨론 포로 전후
- 나훔 (Nahum) – 기원전 650년경
- 스바냐 (Zephaniah) – 기원전 640년경
- 예레미야 (Jeremiah) – 기원전 627~580년경
- 하박국 (Habakkuk) – 기원전 600년경
- 에스겔 (Ezekiel) – 기원전 593~571년경
- 다니엘 (Daniel) – 기원전 540~530년경
- 학개 (Haggai) – 기원전 520년경
- 스가랴 (Zechariah) – 기원전 520~518년경
- 말라기 (Malachi) – 기원전 450년경 (구약의 마지막 책)
📌 특징
- 예언서들은 바벨론 포로기 전, 포로기 중, 포로기 후로 나뉘며 이스라엘의 회복과 종말론적 메시지를 포함한다.
- 다니엘서는 묵시문학적인 성격이 강하여, 요한계시록과 연결되는 중요한 예언서다.
- 말라기는 신약이 기록되기 전 마지막 예언서로,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을 예언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4. 지혜문학 (시가서) – 기원전 1000~400년경
철학적, 문학적 성격을 지닌 구약성경의 지혜서들이다.
- 욥기 (Job) – 기원전 1000~900년경
- 시편 (Psalms) – 기원전 1000~400년경 (다양한 저자가 오랜 기간 동안 기록)
- 잠언 (Proverbs) – 기원전 900~700년경 (솔로몬 중심)
- 전도서 (Ecclesiastes) – 기원전 500~450년경
- 아가 (Song of Solomon) – 기원전 900~800년경
📌 특징
- 욥기는 고대 문학 중 가장 오래된 문서로 추정되며, 인간의 고통과 신앙의 관계를 탐구한다.
- 시편은 여러 시대에 걸쳐 기록되었으며, 다윗이 가장 많은 시를 기록했다.
- 잠언과 전도서는 지혜로운 삶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 아가는 사랑과 영적 관계를 상징하는 시가로 해석된다.
구약성경 기록 순서 (대략적인 흐름)
- 모세오경 (기원전 1400~1200년) – 창조와 율법
- 역사서 (기원전 1000~500년) – 이스라엘 왕국과 바벨론 포로기
- 예언서 (기원전 800~400년) – 경고와 회복의 메시지
- 지혜문학 (기원전 1000~400년) – 인생과 신앙의 철학
📌 구약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책
👉 말라기 (기원전 450년경)
이후, 신약성경이 기록되기 전까지 약 400년간의 공백기(중간기)가 있다. 이를 ‘신구약 중간기(Intertestamental Period)’라고 하며, 이 기간 동안 유대교 경전으로는 외경(Deuterocanonical books)이 작성되었다.
이처럼 구약성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되었으며, 단순한 종교적 기록이 아니라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와 철학, 신앙의 발전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