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 번쯤 그런 경험이 있다.
같은 얘기도 유난히 비관적으로 말하는 사람.
무슨 말을 해도
“그건 안 될 거야”,
“이미 늦었지”,
“그건 말이 좋아서 그렇지”로 받아치는 사람.
심지어 격려로 건넨 말도
의심하고, 오해하고,
삐딱하게 받아들이는 사람.
그 사람은 현실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듣는 우리는 현실이 더 버겁게 느껴진다.
문제는 ‘무엇을 말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했느냐’, 그리고
‘그 말이 나와 상대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느냐’이다.
한두 번은 참을 수 있다.
하지만 그 말들이 반복되면,
듣는 사람은 지치기 시작한다.
의도하지 않아도, 말은 흉기가 된다.
관계를 상하게 하고,
함께하는 사람의 의욕을 바닥내고,
결국은 당신 곁에서 사람들을 떠나게 만든다.
말이란 단지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그 사람의 태도, 관점, 습관, 마음의 결을
모두 드러내는 것이다.
늘 불만을 말하는 사람은,
그 말로 결국 자기 자신까지 무너뜨린다.
자기연민과 냉소가 깊어질수록
스스로를 더 갉아먹게 된다.
정작 그 말은 세상을 바꾸지도 못하고,
자신의 삶조차 좋아지지 않는다.
불만을 말하는 사람은 정답을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아무것도 해결하지 않는다.
조언은 듣기 전에 신뢰부터 얻어야 한다.
불평과 비난이 일상이 된 사람에게
아무도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그저 피하고 싶을 뿐이다.
그것이 그 사람의 진심이든 아니든.
한마디 말이 상대를 살릴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지치게 만들 수도 있다.
말은 결과를 낳는다.
생각의 습관이 말이 되고,
말의 습관은 관계를 만든다.
말을 바꾸면, 관계가 바뀐다.
관계가 바뀌면, 인생이 달라진다.
말은 태도를 비추는 거울이고,
태도는 결국 삶을 이끄는 방향키다.
살다 보면 누구나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그 감정에 머물러 말로 반복하는 순간,
그 부정은 나의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언어가 된다.
그 언어는 곧 습관이 되고, 사람의 인격이 된다.
습관적으로 불평하고 비관하는 사람은
결국 신뢰를 잃는다.
그리고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와 ‘의지’를 소진시키는 존재가 된다.
말을 고치면 인생이 바뀐다는 말,
그저 예쁜 말이 아니다.
실제로, 그 사람과의 대화에서
숨이 쉬어지는지,
아니면 숨이 가빠지는지를
한 번 느껴보면 알 수 있다.
누군가의 말 때문에
하루치 에너지가 고갈되는 느낌이 든 적이 있는가.
지금 당신의 말은 누군가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
무너지는 건 관계만이 아니다.
자신도 무너진다.

블루에이지 회장 ·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Job談 -잡담할까요? 브랜딩, 마케팅, 유통과 수출 그리고 일상다반사까지 잡담하고 싶은 사업자, 창업자, 청년기업, 여성기업, 프리랜서 → E-mail: brian@hyuncheong.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