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에서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사람을 평가할 때 신분을 보지 않고, 그 사람의 행실을 본다.”
이 말은 단순한 이상론이 아니라,
당시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사람됨’의 기준을 뒤흔든 선언이었다.
공자는 임금에게도 간언했고,
거지에게도 예를 갖췄다.
그가 본 것은 옷이 아니라 태도였고,
지위가 아니라 인격이었다.
현대사회도 다르지 않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는 예의를 차리고,
자신보다 낮다고 여겨지는 이에게는 무례한 사람이 있다.
그들은 착각한다.
‘내가 높기 때문에 존중받는 것’이라고.
하지만 그 존중은 진심이 아니다.
그건 ‘지위’에 대한 예의이지,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진짜 예의는
상대방이 ‘아무것도 아닌 사람’일 때도
흔들리지 않는다.
청소하는 노동자에게 인사를 건네고,
식당 직원에게 “고맙습니다”를 말할 줄 아는 사람.
그 사람은 격식을 안 차려도
이미 ‘격이 있는 사람’이다.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말했다.
“인간을 목적 그 자체로 대하라. 수단으로 대하지 마라.”
이 문장은 윤리학의 근간이지만,
동시에 일상의 태도다.
사람을 수단으로 대하는 순간
우리는 그 사람을 ‘인간’이 아니라
‘기능’으로 보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런 시선은
언젠가 나에게도 돌아온다.
누군가를 대하는 태도는
곧 나 자신을 대하는 태도다.
나는 어떤 사람에게도
예의를 잃지 않겠다는 결심이
나의 품격이 된다.
지위를 보고 태도를 정하지 말라.
사람을 보고 사람답게 대하라.

블루에이지 회장;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Job談 –브랜딩, 마케팅, 유통과 수출 그리고 일상다반사까지 잡담할까요?
E-mail: brian@hyuncheong.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