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이 무너질 때, 그 뒤에는 늘 야망과 망상이 있었다세상은 늘, 깨어있는 이들이 다시 바로 세운다

상식이 무너질 때, 그 뒤에는 늘 야망과 망상이 있었다<span style='font-size:18px;display: block;'>세상은 늘, 깨어있는 이들이 다시 바로 세운다

세상이 비상식적으로 흔들릴 때,
늘 그 뒤에는
기득권의 야망과
종교적 망상이 있었다.

합리와 이성이 사라지고,
선동과 혐오가 넘쳐날 때,
이 비정상적인 광경을 키우는 건
결코 순수한 대중이 아니었다.

항상,
조용히,
그 뒤에서 욕망을 부추기고,
신앙을 왜곡해 동원하는
기득권 세력과 종교 권력자들이 있었다.

한국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공정과 정의를 말하면서
자신들의 부패를 감췄고,
신앙과 진리를 외치면서
권력의 단맛을 탐했다.

믿음을 정치로 팔고,
권력을 신성시하며
자기 편만을 ‘의인’으로 만들었다.

결국 오늘날 한국사회의 혼란은
자생적 혼란이 아니라,
야망과 망상이 조직적으로 빚어낸 작품이다.

그러나
대중은 생각보다 오래 속지 않는다.

잠시 눈이 가려질 수는 있어도
오래 가려지지는 않는다.

가짜는 시간이 갈수록 무너지고,
진짜는 시간이 갈수록 드러난다.

역사는 늘
가장 어두운 시대에
가장 선명한 정신을 부른다.

이 혼란 속에서도,
상식을 지키려는 이들,
진실을 잃지 않으려는 이들이
조용히, 그러나 꾸준히
세상을 다시 일으킬 것이다.

그날은
예상보다 멀지 않다.

곧 대선이다.

우리는 누구에게 권력을 맡길 것인가.
누구를 믿고, 어떤 미래를 걸 것인가.

‘신념을 가장한 욕망’이 아니라
‘권력을 위한 신앙’이 아니라

정직하게 실천하는 이에게.
말보다 결과로 증명하는 이에게.
남의 고통을 이용하지 않는 이에게.

곧 대선이다.
다시 묻는다.

우리는 누구에게 권력을 맡길 것인가.
누구를 믿고, 어떤 미래를 걸 것인가.

‘신념을 가장한 욕망’이 아니라
‘권력을 위한 신앙’이 아니라

정직하게 실천하는 이에게.
말보다 결과로 증명하는 이에게.
남의 고통을 이용하지 않는 이에게.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