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든다는 것, 사려가 흐려진다는 것노안, 난청, 그리고 마음의 노화

나이가 들면 가장 먼저 오는 변화는 눈이다.
어느 날부터인가 책이 멀게 느껴지고,
휴대폰 글자가 흐릿해진다.
40대 중반쯤, 우리는 그것을 ‘노안(老眼)’이라 부른다.

멀리는 잘 보인다.
하지만 가까운 건 흐리다.
이건 육체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삶에 대한 태도에서도 벌어지는 일이다.

가까이 있는 사람의 감정을 보지 못하고,
가까이에서 건네는 말을 듣지 못하고,
가까이에서 일어나는 일에 무뎌지는 것.
그게 어쩌면 마음의 노안이다.

눈 다음으로 오는 건 귀다.
TV 볼륨이 점점 커지고,
“아빠, 좀 줄이세요”라는 말이 딸의 습관처럼 변한다.
어머니는 소금 간을 세게 하시고는
“내 입에는 안 짜다”며 웃으신다.
맛을 모르겠다고 하신다.

미각이 무뎌지고, 청각이 흐려지고,
그러다 어느 날
사람의 말도, 기분도, 사정도
들리지 않고 느껴지지 않게 된다.

그때부터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잘 듣지 않고,
말을 자르고,
자기 생각만 강조하고,
공감 대신 판단을 앞세우는
그런 어른이 되기도 한다.

몸은 늙어가는 것을 받아들이면서도
마음은 왜 그렇게 쉽게 굳어지는지.
노안이 오면 돋보기를 끼지만,
마음의 노안에는 왜 렌즈를 찾지 않을까.

청력이 떨어지면 보청기를 찾으면서,
왜 타인의 말을 놓치고도
그저 “내가 맞다”며 밀어붙일까.

진짜 성숙이란,
잘 보이는 눈보다
잘 바라보려는 시선,
잘 들리는 귀보다
잘 들으려는 자세에서 시작되는 건지도 모른다.

나이 든다는 건
몸이 불편해지는 일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고 사람을 이해하는 능력이
흐릿해질 수 있다는 자각을 갖는 일
이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나이 들어
더 사려 깊은 사람이 되고 싶다.
말보다는 듣는 데 익숙하고,
보이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것에
더 오래 머무를 줄 아는 사람.

노안보다 두려운 건,
마음이 굳어지는 노화다.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