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담쓰談]
한때 ‘어른’이라는 단어는
존경이라는 말과 동의어였다.
그들은 먼저 일어나 인사했고,
먼저 책임졌으며,
먼저 희생함으로써
무게 있는 침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어른이 사라졌다.
나이만 든 이들이
권위와 편견으로 자리를 채웠고,
기억보다 욕망이 앞선 그들을
우리는 어른이라 부르기를 멈추었다.
대신 우리는
리더를 찾고, 멘토를 찾고,
영향력을 가진 사람을 좇으며
어른 없이 성장하는 사회에 익숙해졌다.
그 공백이 만든 혼란 속에서
말은 많아지고,
품위는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금,
조용히 무언가가 돌아오고 있다.
어른의 부활.
그것은 거창한 정치적 메시지도,
유행을 탄 담론도 아니다.
단지 한 사람의 삶이
진심으로 사람들을 감동시킬 수 있다는 사실.
이 단순한 진실이
사람들의 가슴을 두드리고 있다.
김장하라는 이름,
재개봉된 다큐멘터리 한 편,
그리고 넷플릭스 리뷰 속 울음과 찬사.
그 모든 것이 증명한다.
우리 사회가
존경할 수 있는 어른을 얼마나 갈망하고 있었는지를.
어른의 부활은
무대 위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그건 조용한 손길,
아무 말 없이 지켜봐주는 눈빛,
뒤돌아서 울지 않는 인내에서 시작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능력 있는 사람보다
품격 있는 사람이다.
말 잘하는 사람보다
말을 삼킬 줄 아는 사람이다.
권력을 가진 사람보다
권위 없이 존중을 받는 사람이다.
그런 어른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
우리가 기다린 게
‘변화’가 아니라 ‘복원’이었다면,
그 출발은
다시 존경할 만한 어른을 세우는 일이다.
어른이 없다는 건
길이 없다는 것이고,
방향이 사라졌다는 말이다.
그러니 이제 우리 사회는
다시 묻고 있다.
“당신은, 누군가의 어른인가?”
“나는, 누군가의 나침반이 될 수 있는가?”
어른의 부활은
그 물음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 대답은
누군가의 삶이 되어
다시 우리 앞에
조용히 서 있을 것이다.

블루에이지 회장 ·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Job談 -잡담할까요? 브랜딩, 마케팅, 유통과 수출 그리고 일상다반사까지 잡담하고 싶은 사업자, 창업자, 청년기업, 여성기업, 프리랜서 → E-mail: brian@hyuncheong.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