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토판 위의 기억, 지금 우리의 데이터사라진 문명과 현대 문명의 연결고리 2

기억은 언제부터 기록이 되었을까.
사람들이 바람을 따라 흩날리던 소문 대신,
무언가를 남기기 시작한 순간—
그때부터 세계는 말로만 존재하던 것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체
가 되었다.

기원전 3200년경, 수메르.
사막 바람이 뜨겁게 휘감던 그 땅의 사람들은
점토판 위에 쐐기 모양의 문자를 눌러 새겼다.
설형문자.
그 시작은 단순했다.
“보리 6포대”, “소 3마리”, “세금 납부 완료.”

그 문장은 문장이 아니라
증거였고,
기억의 구속력이었으며,
신뢰의 서명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곧 확장되었다.
왕의 이름이 기록되고, 신의 명령이 적히고,
이야기가 등장했다.
『길가메시 서사시』—그 한 줄의 문장은
문자가 단지 기억의 도구가 아니라
상상의 확장 장치임을 보여주었다.

인더스의 사람들도
도장처럼 생긴 인장을 찍어냈다.
작고 단단한 그 인장에는
동물, 기호, 추상문자 같은 상징들이 새겨져 있었다.
아직 해독되지 않은 그 언어는
오히려 더욱 분명히 말한다.
“우리는 우리만의 세계를 만들고 있었다.”

그 인장은 일종의
브랜드이자 서명이며, 신뢰의 징표였다.
오늘날 기업 로고, 패키지, 인증 마크, QR코드는
그 인장의 먼 후손들이 아닐까?

중국의 갑골문은
신의 뜻을 묻는 문자였다.
거북 등껍질에 그어진 그 조형은
예언과 정치, 신탁과 통치의 교차점이었다.

문자는 세계를 설명했을 뿐 아니라,
미래를 통제하고 권력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쯤 되면 우리는 문자를
그저 ‘의사소통의 수단’이라 할 수 없다.
문자는 기억의 형식이며,
권력의 장치이며,
세계관의 틀
이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타자한다.
터치한다.
입력한다.
그러나 그 행위의 뿌리는,
사실상 5천 년 전 점토판 위를 누르던 손가락과 다르지 않다.

우리는 데이터를 쌓고,
비밀번호로 자신을 정의하며,
해시태그로 자신의 좌표를 공유한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도,
문자를 통해 세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기록은 편리함을 위한 것이 아니다.
기록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지우고,
무엇을 남길 것인가
를 결정하는
‘선택의 윤리’다.

문명이란, 결국
무엇을 말할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남기고자 하는가에 대한 대답이다.

그래서 우리는 묻는다.
지금 우리가 남기고 있는 이 데이터들은
과연
어떤 문명의 씨앗이 될 수 있을까?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