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목록지성의 오디세이: 세인트 존스 4년의 여정

세인트 존스 대학의 ‘그레이트 북스’ 커리큘럼을 4학년 과정으로 총정리한 목록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부터 현대 양자역학 논문까지, 인류 지성사의 핵심 고전 100여 권을 통해 비판적 사고와 지혜를 배우는 4년간의 지적 여정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이 목록은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1학년: 고대 그리스, 이성의 서막

서구 문명의 새벽, 인간이 처음으로 ‘왜?’라고 묻기 시작한 시기의 문헌들을 탐험합니다.

  • 서사시와 역사

    • 호메로스, 『일리아스』, 『오디세이』

    • 헤로도토스, 『역사』

    •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플루타르코스, 「뤼쿠르고스」, 「솔론」

  • 비극과 희극

    • 아이스퀼로스, 『아가멤논』,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에우메니데스』, 『묶인 프로메테우스』

    •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 『필록테테스』

    • 에우리피데스, 『히폴리토스』, 『바카이』

    • 아리스토파네스, 『구름』

  • 철학

    • 플라톤, 『메논』, 『고르기아스』,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돈』, 『향연』, 『파르메니데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티마이오스』, 『파이드로스』

    •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물리학』, 『형이상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생성에 관하여』, 『동물의 부분들에 관하여』, 『동물의 생성에 관하여』

    • 루크레티우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수학과 과학

    • 유클리드, 『기하학원론』

    • 니코마코스, 『산술론』

    • 라부아지에, 하비, 아르키메데스, 돌턴 등의 논문 선집

2학년: 로마, 중세, 그리고 르네상스의 서곡

신앙과 이성, 제국과 개인의 관계가 충돌하고 융합하며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문헌들을 읽습니다.

  • 성서와 신학

    • 『성경』 (구약 및 신약)

    •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성 안셀무스, 『프로슬로기움』

    • 토머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이교도 논박 대전』

  • 로마와 고전

    •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

    •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 「소 카토」

    • 에픽테토스, 『어록』, 『편람』

    • 타키투스, 『연대기』

  • 중세와 르네상스 문학

    • 단테, 『신곡』

    • 초서, 『캔터베리 이야기』

    • 라블레,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이야기』

    • 몽테뉴, 『수상록』

    • 셰익스피어, 『리처드 2세』, 『헨리 4세』, 『템페스트』, 『뜻대로 하세요』, 『햄릿』, 『오셀로』, 『맥베스』, 『리어왕』, 『코리올라누스』, 『소네트집』

  • 정치와 사상

    • 마키아벨리, 『군주론』, 『로마사 논고』

    • 루터,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하여」

    • 베이컨, 『신 오르가논』

  • 과학과 수학, 음악

    • 아리스토텔레스, 『영혼론』, 『명제론』, 『분석론 전후서』, 『범주론』

    • 아폴로니우스, 『원뿔곡선론』

    • 프톨레마이오스, 『알마게스트』

    • 코페르니쿠스,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 비에트, 『해석학 입문』

    • 드프레, 팔레스트리나, 바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스트라빈스키의 주요 악곡

3학년: 과학혁명과 계몽주의의 빛

근대적 자아와 이성이 세계를 어떻게 재구성했는지, 그 빛과 그림자를 탐구합니다.

  • 문학

    •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 밀턴, 『실낙원』

    • 라 퐁텐, 『우화』

    • 스위프트, 『걸리버 여행기』

    • 몰리에르, 『인간 혐오자』

    • 라신, 『페드르』

    •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 조지 엘리엇, 『미들마치』

  • 철학과 정치사상

    • 홉스, 『리바이어던』

    • 데카르트,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 『방법서설』,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 파스칼, 『팡세』

    • 스피노자, 『신학-정치 논고』

    • 로크, 『통치론』

    • 라이프니츠, 『단자론』, 『형이상학 서설』

    • 흄, 『인성론』

    •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사회계약론』

    • 애덤 스미스, 『국부론』

    • 칸트, 『순수이성비판』, 『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 과학과 수학

    • 갈릴레오, 『두 가지 새로운 과학에 관한 대화』

    • 호이겐스, 『빛에 관한 논문』

    • 뉴턴, 『프린키피아』

    • 케플러, 『신천문학』

    • 데데킨트, 『수론에 관하여』

    • 영, 맥스웰, 오일러, 베르누이 등의 논문 선집

4학년: 근대와 현대, 끝나지 않은 질문

민주주의, 자본주의, 개인의 실존, 그리고 과학의 최전선에서 인류가 마주한 문제들을 파고듭니다.

  • 미국 건국과 민주주의

    • 미국 독립선언서, 연합규약, 미합중국 헌법

    • 해밀턴, 제이, 매디슨, 『연방주의자 텍스트』

    • 미국 대법원 판례집

    •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 링컨, 연설문 선집

  • 근현대 철학과 사상

    • 헤겔, 『정신현상학』, 『논리학』

    • 키르케고르, 『공포와 전율』, 『철학적 단편』

    • 니체,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비극의 탄생』, 『선악의 저편』,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윌리엄 제임스, 『심리학』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관련 저작 선집

    • 하이데거, 「철학이란 무엇인가?」

    • 부커 T. 워싱턴, W.E.B. 듀보이스의 저작 선집

  • 근현대 문학

    • 도스토옙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 허먼 멜빌, 「베니토 세레노」

    • 조지프 콘래드, 『어둠의 심연』

    • 윌리엄 포크너, 「곰」

    • 플래너리 오코너, 단편 선집

    • 예이츠, T.S. 엘리엇, 보들레르, 랭보 등의 시 선집

  • 현대 과학과 수학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