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대응

초고령 사회, <br>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대응

전 세계적으로 초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되고 있다. 유엔의 기준에 따르면, 한 국가의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으면 ‘고령 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된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 선진국들은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으며, 한국은 2017년 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7년 만에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제 한국은 초저출산 문제까지 겹쳐 인구 구조 불균형이 심화되는 국가적 위기에 직면했다. 이대로라면 2045년에는 고령 인구 비율이 37%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된 국가가 될 전망이다. 문제는 이러한 변화가 단순한 통계적 현상이 아니라,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을 뒤흔들 도전이라는 점이다.

 

위기의 한국, 초고령화의 속도

세계적으로 초고령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며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왔다. 그러나 한국의 초고령화 속도는 그 어느 나라보다 빠르다. 일본이 고령화에서 초고령화로 진입하는 데 24년이 걸렸던 데 반해, 한국은 불과 7년이 소요됐다. 이는 경제, 사회, 정치적 대응이 매우 촉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고령화는 노동력 부족, 연금 및 의료비 증가, 소비 위축 등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동시에 노인 돌봄, 세대 간 갈등, 지방 소멸 등 사회적 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된다. 지방에서는 이미 초고령화로 인한 구조적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전남은 고령 인구 비율이 27%를 넘어섰으며, 전국 17개 시·도 중 절반 이상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초과했다.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지방은 경제적 활력을 잃고 소멸의 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대응, 거북이걸음에 머물러

정부는 정년 연장, 이민 정책 확대 등 몇 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그 속도와 실효성은 미흡하다. 초고령화는 이미 시작됐고, 문제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하지만 정년 연장, 연금 개혁, 노인 돌봄 체계 강화 등 핵심 정책들은 정치적 논의의 장벽에 막혀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최근의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관련 논의가 멈추면서, 초고령 사회에 대한 우려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한국은 더 이상 대응을 미룰 시간이 없다. 단순히 몇 가지 정책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초고령화가 가져올 거대한 사회적 변화를 감당할 수 없다. 이는 구조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문제다.

 

세계의 사례와 한국의 선택

일본은 초고령화 문제를 가장 먼저 경험한 국가로, 다양한 실험적 대책을 추진해왔다. 정년 연장과 로봇 기술 도입, 지역 커뮤니티 강화 등을 통해 고령화의 충격을 완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독일은 이민자 유입 확대와 연금 개혁을 통해 노동력과 복지 체계를 보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국가로서, 보다 과감하고 창의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기술 혁신이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인공지능(AI), 로봇, 바이오 기술은 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강력한 도구가 될 가능성을 가진다. 일본은 이미 소셜 로봇 ‘페퍼(Pepper)’를 통해 노인 돌봄과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과를 내고 있다. 의료 AI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질병 예방과 치료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또한, 로봇 공학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간병 로봇, 자율 주행 차량 등은 고령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바이오 기술도 고령화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축이다. 유전자 치료와 재생 의학은 건강 수명을 연장하며, 노인 인구의 의료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단순히 문제를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초고령 사회의 대안을 향해

초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는 단순한 사회적 이슈를 넘어 국가적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가 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 정년 연장과 유연한 노동시장 제도 마련
  • 이민자 유입 정책 강화와 지역별 정착 지원
  • 연금, 의료, 돌봄 시스템의 공정성과 지속 가능성 확보
  • 지방 경제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정책
  • 인공지능, 로봇, 바이오 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

이 모든 대책은 단순히 정책적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실행 가능한 형태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더 늦기 전에 행동해야 한다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하지만 이 속도는 우리가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간도 빠르게 줄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와 사회가 함께 초고령화에 대한 대응을 지금 시작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경제적, 사회적 충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기술 혁신과 정책적 변화, 그리고 세대 간의 연대가 필수적이다. 위기는 곧 기회라는 말처럼, 한국은 초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글로벌 모범 국가로 도약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제 더 이상 미루지 않고, 오늘부터 행동하는 것이다. 초고령 사회의 미래는 지금 우리가 결정하는 선택에 달려 있다.

 

 


김현청 / brian@hyuncheong.kim
   – 블루에이지 회장
– 콘텐츠 기획자,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Leave a Reply

Back To Top
Them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