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 억짜리의 강의
어느 대기업의 성공한 CEO가 특강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었습니다. 많은 대학생과 교수들은 그의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려들었지요. 그는 평소에 강의나 인터뷰를 하지 않는 […]...
가끔은 살려고 노력하느라 진짜 살 시간이 없는 것 같아.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 신에게는 12척의 배가 남아있습니다. 두려움을 용기로 바꿀 수 있다면 말이다.
좋은사람 되려다 쉬운사람 되지마라.
마음하나 바꿈으로써 삶이 달라 지는 것입니다.
살아가면서 우리는 다양한 성격과 생활 양식을 가진 사람들을 만납니다.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사람들은 늘 미소를 띠고 재치있는 말로 사람들을 즐겁게 하지요. 그런 사람들을 만나는 동안에는 […]...
세상을 보고 무수한 장애물을 넘어 벽을 허물고 더 가까이 다가가 서로를 알아가고 느끼는 것. 그것 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의 목적이다.
생각은 행동을 낳는다.
노만 빈센트 필은 자신이 버림받은 사람이라고 말하는 실업자에게 몇 가지 질문을 했다. “당신은 아내가 있습니까?” “있습니다. 돈을 잘 못 벌고 못 도와주지만 충성스럽게 나와 […]...
어른이 된다는 것은 인제 니 마음대로 하고 싶은대로 살아서는 안 된다는 뜻이야. 자기 행동에 책임도 지고, 남이 날 어떻게 보나 그것도 생각하고, 한 마디로 이 사회에 적응을 해야 돼. 그게 어른이 되는 거야.
가치있는 것에 대해 결코 늦은 때는 없단다. 시간의 제약은 없어. 네가 원할 때 시작하렴. 넌 변할 수도 머무를 수도 있단다.
사람들은 내가 그들을 위해 일을 해주기를 원하지만, 그들은 그 힘을 자신들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지 못해! 기적이 보고싶나? 스스로 기적이 되게나!
소중한 순간이 오면 따지지 말고 누릴 것. 우리에게 내일이 있으리란 보장은 없으니까
20초만 미쳤다고 생각하고 용기를 내봐. 상상도 못할 일이 펼쳐질거야.
삶에서 가장 파괴적인 단어는 "내일"이다. "내일"이란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가난하고 불행하고 실패한다. "오늘"은 승자들의 단어이고 "내일"은 패자들의 단어라고 한다. 당신의 일생을 바꾸는 말은 "오늘"이다.
사람들은 물위를 걷거나 하늘을 나는 것을 기적이라 한다. 하지만 진짜 기적은 땅위를 걷는 것이다. 우리는 매일 기적을 경험하면서도 느끼지 못하며 살아간다. 푸른 하늘과 흰 구름, 초록 잎들과 아이들의 호기심에 찬 반짝이는 검은 눈, 이 모든 것이 바로 기적이다.
내 마음의 깊이는 다른 사람이 던지는 말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우물이 깊은지 얕은지는 돌멩이 하나를 던져보면 압니다. 돌이 물에 닿는데 걸리는 시간과 그 때 들리는 소리를 통해서 우물의 깊이와 양을 알 수 […]...
지나고 보면 모두가 그리운 것 뿐인데
그때는 뼈를 녹일 것 같은 아픔이며 슬픔이였을 지라도 이제 지나고 보니 그것마저도 가끔은 그리워질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견디고 살았던가 싶을 만치 힘들고 어려웠던 일도 […]...
실패는 삶에서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 준다.
"실패는 삶에서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 준다. 나는 내게 가장 중요한 작업을 마치는 데에 온 힘을 쏟아 부었다. 스스로를 기만하는 일을 그만두고 정말 중요한 일을 시작하라" - 천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
훌륭한 삶에는 세가지 요소가 있답니다. 배우는 일, 돈 버는 일, 무엇인가 하고 싶은 일...
내일만 사는 놈은 오늘만 사는 놈에게 죽는다.
시작하는 데 있어서 나쁜 시기란 없다. - F. 카프카시작하는 데 있어서 나쁜 시기란 없다.
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
좋으면 됐지,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만은 아니니까 사랑이 전부인 것 같던 시절이 있었다. 온갖 사소한 이유로, 혹은 설명하기조차 어려운 어떤 이끌림으로 우리는 누군가를 내 […]...
우리가 사랑할 때의 감정 상태가 인간의 보통 상태래요. 인간의 진정한 모습은 사랑할 때 드러난다고.
네가 네 꿈을 쫓지 못한다면 넌 식물인간이나 다름없단다.
유홍준이 밝힌 글쓰기 비결, 열다섯 가지
“좋은 글이란 쉽고, 짧고, 간단하고, 재미있는 글입니다. 멋 내려고 묘한 형용사 찾아넣지 마십시오. 글 맛은 저절로 우러나는 것입니다.” 유홍준 교수가 지난 15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
행복해지고 싶으면 행복하다고 생각하라.
우리는 우리가 행복해지려고 마음먹은 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우리를 둘러싼 환경이나 조건이 아니라, 늘 긍정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