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하지 않는 대통령이 만드는 국가 불신책임이 없는 권력은, 결국 공동체를 파괴한다

한국 정치에서 “책임”은 오래전부터 선언용 단어였다.
정치는 늘 위기를 겪었지만, 그 위기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은 없었다.
특히 대통령은 권력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가장 멀리 있는 존재처럼 행동했다.

윤석열 정부는 그 전형이었다.
비리 의혹, 정책 혼선, 인사 실패, 재난 대응, 외교 말실수 등
무수한 논란이 있었지만
“사과한다”, “내 책임이다”라는 말은
좀처럼 듣기 어려웠다.

그 빈자리는 변명과 침묵,
혹은 책임 떠넘기기로 채워졌다.

사과하지 않는 정치는 신뢰를 파괴한다

대통령의 말 한마디는 수많은 국민의 마음을 붙들거나 놓아버린다.
사과는 단순한 제스처가 아니다.
정치는 책임의 무게를 견디는 윤리이고,
사과는 그 윤리를 보여주는 실천
이다.

그러나 대통령이 책임지지 않으면
장관도, 당대표도, 참모도 책임지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정치에 노출된 국민은
국가 전체에 대한 신뢰를 잃는다.

그 결과, 사회는 점점 더
“내가 손해 보지 않기 위한 정치”,
“책임을 지지 않기 위한 조직문화”에 물든다.

국민이 먼저 깨닫는다.
정치가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결국,
자신의 문제는 누구도 해결해주지 않는다는 것.

사과 없는 권력은, 오래 가지 않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이후 사저로 옮겨가기 위해 문을 나섰다.
국민에게 드리는 글에 사과는 없었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사과라는 가장 기본적인 도덕적 행위를 꺼려했다.
비난이 쏟아져도 “내 잘못 아니다”는 말,
질문이 나와도 “그건 언론이 만든 프레임”이라는 해명,
그리고 “할 만큼 했다”는 태도는
국민을 더욱 분노하게 만들 뿐이다.

국민은 실수를 용서할 수 있지만,
무책임은 절대 용서하지 않는다.

국가는 인간의 실수로 무너지지 않는다.
하지만 사과 없는 권력은,
그 실수를 반복하는 구조를 만든다.

이제 우리는
잘못을 안 하겠다는 정치인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다.
잘못했을 때 사과할 줄 아는 리더,
책임을 질 줄 아는 지도자를 기다린다.

정치의 신뢰는 숫자로 회복되지 않는다.
신뢰는 결국,
“내가 틀렸습니다”라는 한마디에서 시작된다.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