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만 바라보는 정치는 지역을 고립시킨다지역은 왜 여전히 ‘변두리’로 남아 있는가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이지만,
정치와 자본, 행정과 문화, 교육과 의료까지
모든 것이 집중된 ‘제국의 심장’이 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국토 면적의 12%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절반 이상, 기업의 70%, 대학과 병원, 방송국, 국회, 법원이 다 모여 있다.

그 결과,
정치는 말로는 ‘균형발전’을 외치지만
행동은 언제나 ‘수도권 관리’를 위한 정치공학에 멈춰 있다.

지역은 여전히 선거 때만 잠시 호출되고
중앙은 여전히 지방을 ‘지원의 대상’으로만 바라본다.

지역의 고립은 인구 문제가 아니라, 정치의 무책임이다

정치권은 지역소멸을 ‘출산율’과 연결한다.
하지만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사회,
살고 싶은 매력이 사라진 곳에서
어떤 개인도 출산을 선택할 수 없다.

교통은 수도권만의 GTX에 집중되고,
기업 유치는 규제 특구가 아니라 ‘수도권 규제 완화’로 흐르고,
고등교육의 질은 지방대의 생존과 연결된 문제가 되었다.

이런 구조에서
지역은 점점 거주지가 아니라 탈출구가 된다.
청년은 빠져나가고,
남은 이들은 노화된 공동체의 붕괴를 감당하고 있다.

서울 중심의 정치는 공동체의 깊이를 파괴한다

서울은 ‘표준’이 되었고,
지역은 ‘예외’가 되었다.
심지어 정책에서도
“수도권 외 지역”이라는 표현이 당연하게 쓰인다.

그러나 공동체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관계와 문화, 기억과 지속가능성의 토양이다.
그것이 무너지면, 국가는 그 뿌리를 잃는다.

지역이 외면받는 사회는
결국 서울도 파괴하는 사회가 된다.
경쟁은 지역 간의 갈등으로,
정치는 지분 나누기로 퇴행한다.

정치가 수도권만 바라보는 한
지역은 계속해서 기회의 변두리, 정책의 사각지대에 머무를 것이다.

지역을 국가의 축으로 세우는 정치,
그것이 바로 공동체 정치이며
대한민국이 건강해지는 유일한 길이다.

다음 세대가 ‘서울로 떠나야 한다’는 말을
유일한 희망처럼 듣지 않도록.
지역이 사는 정치,
이제 시작되어야 한다.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