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평범한 사람이었습니다.”
“지금은 무자본 창업으로 월 천만 원을 벌고 있죠.”
“특별한 기술도, 배경도, 자본도 없던 제가 할 수 있었다면,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이제 하나의 주술이 되었다.
당신이 조금 지쳐 있고, 미래가 불투명하며,
무언가 기적 같은 돌파구를 원하고 있을 때
가장 먼저 당신을 매혹시키는 건 이 문장일 것이다.
“나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묻자.
정말 그런가? 정말, 나도 할 수 있는가?
3無 마케팅: 무자본, 무리스크, 무지식
사기성 콘텐츠는 ‘안전한 성공’이라는 허상을 판다.
그들의 3대 주장에는 늘 같은 단어들이 반복된다.
-
무자본 – “초기 비용이 0원입니다.”
-
무리스크 – “망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
무지식 – “전문 지식은 필요 없습니다. 따라만 하세요.”
이 3無 전략은 인간의 가장 약한 고리,
‘노력하지 않고 얻고 싶다’는 본능을 교묘하게 포장한다.
실제로 창업은 자본이 아니라도
시간, 집중, 실패에 대한 감수성을 요구한다.
리스크가 없다는 말은, 책임도 없다는 말과 같다.
지식이 필요 없다는 주장 역시,
당신을 주체가 아닌 ‘클릭하는 소비자’로 만들겠다는 선언에 가깝다.
성공 스토리라는 정교한 허상
이 마케팅은 늘 ‘전직 평범했던 사람’을 전면에 내세운다.
-
전업주부에서 월 수천 수익
-
편의점 알바생에서 NFT 창업가
-
비전공자에서 AI 기업 대표
공통점이 있다.
‘나와 같은 사람’이 먼저 성공했다는 믿음을 만들고,
‘따라 하면 된다’는 반복적인 암시를 심는다.
그러나 정작 이들의 과정은 드러나지 않는다.
실패는 생략되고, 인맥은 감춰지고,
기술의 배경은 모두 ‘AI’나 ‘시스템’이라는 단어 뒤에 숨어 있다.
결과만 존재하고, 과정은 삭제된 서사.
이것은 성공의 재현이 아니라, 희망의 소비다.
진짜 평범한 사람은 ‘지속 가능한 실패’를 알고 있다
“나도 할 수 있다”는 말에는 사실 진실이 담겨 있다.
누구나 배울 수 있고, 시도할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말은 다음과 함께 나와야 한다.
“하지만 시간이 걸린다.”
“실패도 경험해야 한다.”
“지속적인 학습과 자기 점검이 필요하다.”
이 ‘진짜 평범한 사람’의 말은
희망을 주지만, 판매를 돕지는 않는다.
그래서 마케팅 콘텐츠에서는 버려진다.
겸손한 진실은, 파괴력 있는 거짓에 밀린다.
자기 책임을 부정하는 구조
이 마케팅은 모든 책임을 구조 밖으로 밀어낸다.
-
실패하면 시스템이 문제였거나
-
본인이 열심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거나
-
다른 사람들이 운이 좋았기 때문이거나
하지만 정작 그들은 말한다.
“우리는 이미 수백 명을 성공시켰습니다.”
“방법은 검증되었습니다.”
검증은 항상 ‘다른 사람의 성공’을 근거로 제시된다.
개인의 실행력, 맥락, 조건은 배제된다.
구조는 절대 실패하지 않으며, 실패는 오직 당신의 몫이 된다.
이것은 마케팅이 아니라, 정서적 고립화 전략이다.
당신이 묻고, 판단하고, 설계할 수 있는가?
이 콘텐츠는,
진짜 ‘나도 할 수 있다’를 위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
당신은 지금 무엇을 알고 있는가?
-
지금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
그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무엇을 학습하고 있는가?
-
기회는 시스템이 주는가, 내가 만드는가?
이 질문에 ‘예’로 답할 수 있을 때
“나도 할 수 있다”는 말은 구호가 아니라
계획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