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말하는 정치의 함정지표는 회복됐다는데, 왜 삶은 여전히 고단한가?

정부는 매년 수치를 발표한다.
GDP 성장률 몇 퍼센트, 실업률 하락, 소비자 심리지수 반등.
보고서의 지표들은 선명하고,
브리핑룸의 목소리는 낙관적이다.

하지만 현실의 거리는 다르다.
버스 안에서는 한숨이 흘러나오고,
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은 초단기 근무를 전전하며,
치킨집 사장은 재료비보다 배달앱 수수료를 먼저 계산한다.

정치는 ‘수치의 언어’를 말하지만,
국민은 ‘살아있는 언어’를 원한다.
숫자와 삶 사이의 간극,
그 위선을 알아채지 못하는 정치가 가장 위험하다.

통계는 국가의 체온이지, 시민의 체감은 아니다

0.1%포인트 오른 성장률이 국민의 장바구니를 채우진 못한다.
실업률이 3%대라고 해도,
‘비자발적 자영업자’와 ‘N잡 청년’의 불안은 줄어들지 않는다.

대통령이 “일자리가 늘었다”고 말할 때,
편의점 3시간 알바가 그 수치에 포함되어 있다는 걸 국민은 안다.
“수출 회복”이라는 표현 속에
소상공인 매장의 셔터가 내려가는 소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지표는 기계가 측정하고,
정치는 그 지표에 의미를 부여하지만,
국민은 손끝과 지갑, 고요한 눈빛으로 현실을 측정한다.

숫자 중심 정치는 정치의 무감각을 낳는다

정치가 숫자에 중독되면,
사람은 ‘데이터’가 되고,
삶은 ‘통계’로 환원된다.

공무원 정원 감축이라는 숫자는
지방 마을의 사회복지 담당자 한 명을 줄이는 일일 수도 있고,
지하철 요금 수입 증가라는 그래프는
승객들의 교통 부담이 늘었다는 말일 수도 있다.

정치는 “효율”을 말하지만,
국민은 “지속”을 고민한다.
숫자는 보이지만, 아픔은 감춰진다.

숫자보다 말을 들어야 하고, 말보다 표정을 읽어야 한다

실제로 국민은 늘 숫자보다, 태도에 민감하다.
정치인은 데이터를 해석하는 사람이 아니라,
숫자로 가려진 삶의 맨얼굴을 말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가계부가 마이너스인데,
“소비자 신뢰지수”가 올랐다고 자랑하는 정치는,
이미 국민의 신뢰를 잃고 있다.

정치는 보고서가 아니라,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말해야 한다.
수치가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말하게 해야 한다.

다음 대통령은 숫자를 말하기보다
숫자에 가려진 얼굴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때 비로소 정치도 회복되고,
국민도 나라를 다시 신뢰하게 된다.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