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결과의 예술이 아니라,
책임의 서사여야 한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 정치는
실패는 말단에게,
실언은 참모에게,
분노는 시민에게 돌리는 책임 회피의 정치에 익숙해졌다.
특히 대통령제에서는
그 정점이 바로 대통령이다.
대통령이 책임을 지지 않으면,
그 아래 어느 누구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정치의 가장 큰 병폐는
무능보다 무책임이다.
국정은 실패할 수 있지만,
그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 순간
국가는 신뢰를 잃는다.
대통령의 책임감은 시스템의 마지막 버팀목이다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장이자,
정치와 행정의 ‘최종 해석자’다.
그는 모든 권한을 갖되,
그 권한의 무게만큼
가장 먼저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다.
전 정부 탓,
참모의 실수,
언론의 왜곡을 말하기 전에
“내가 책임지겠다”는 단 한마디가
모든 위기 대응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책임지는 대통령이 있는 나라는
신뢰를 쌓고,
책임을 회피하는 대통령이 있는 나라는
공동체의 해체를 부른다.
책임을 지지 않으면, 리더십은 무너진다
정치는 권위가 아니라 신뢰로 작동한다.
그 신뢰는 책임을 지는 모습에서 나온다.
노무현 대통령은 단 하나의 말실수도
끝까지 해명하거나 사과했다.
반면,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대응은
책임을 미루는 장면들로
국민의 마음에서 정권을 먼저 무너뜨렸다.
책임은 정치의 무게이고,
대통령의 언어는 그 무게를 실어 나르는 도구다.
책임은 끝까지 가는 사람에게 돌아가는 ‘명예’다
윤석열 대통령은
말보다 사과를 어려워했다.
거의 모든 논란에
해명은 있었지만,
책임 있는 ‘인정’은 없었다.
그러나 국민은 이미 안다.
사과에는 용기가 필요하고,
책임에는 고통이 따른다는 것을.
그래서 책임을 지는 사람에게
가장 강한 권위가 생긴다.
프랑스 대통령 드골은
알제리 독립을 선언하고
국민의 반발을 감수했다.
독일 총리 브란트는
나치 전범 앞에 무릎 꿇었고,
그 장면은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국가적 도덕의 상징이 되었다.
대통령은 완벽할 수 없다.
하지만 책임질 수는 있어야 한다.
국민은 실패를 용서할 수 있지만,
무책임은 절대 용서하지 않는다.
정치는 신뢰다.
신뢰는 책임에서 태어난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책임지는 대통령을 다시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