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브랜드_13] 콘텐츠를 브랜드로, 브랜드를 수익으로: ‘일상의 기록’을 브랜드 자산으로 만드는 법브랜드의 씨앗 심기

우리는 매일을 살아간다.
밥을 짓고, 커피를 내리고,
반려견과 산책을 하고,
아이에게 책을 읽어준다.

그 모든 순간은
그저 지나가는 일상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브랜드의 씨앗이 되고,
콘텐츠의 원천이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말한다.
“제 일상은 너무 평범해요.”
“별것도 아닌데 기록할 게 없어요.”

하지만 기억하자.
브랜드는 특별해서 생기는 게 아니라,
기록되었기에 남는 것이다.


일상은 ‘기억될 만한 방식’으로 남겨야 한다

아무리 의미 있는 하루도
기록되지 않으면 잊힌다.
그리고 반복되지 않으면 성장하지 않는다.

그러니 시작하자.
아주 작고 사소한 것부터.

  • 아침에 마신 커피 한 잔의 향

  • 동네 산책 중 본 꽃 이름

  • 아이가 오늘 말한 가장 귀여운 한 마디

  • 오늘 실패한 이유식 레시피

  • 어제 읽은 책 속 한 문장

이 모든 것이
하루하루 쌓이면
어느새 브랜드의 감도가 된다.


브랜드 아카이브의 3단계

  1. 수집하기 – 흘려보내지 말고 쌓아두기
    : 메모앱, 인스타그램 스토리 보관함, 브런치 초안함 등
    → 하루 3~5줄씩 감각을 붙잡아두자.

  2. 정리하기 – 주제별로 묶기
    : 이유식 노트, 산책 에세이, 반려일기, 퇴사 단상
    → 반복되는 주제가 ‘콘텐츠 카테고리’가 된다.

  3. 공유하기 – 나누는 순간, 자산이 된다
    : 블로그, 브런치, 당근마켓 동네생활
    → 좋아요보다 중요한 건 “이 글, 나도 이랬어요”라는 공감의 댓글이다.


기록이 자산이 되는 결정적 순간들

  • 6개월 동안 정리한 육아일기 → 전자책 출간

  • 매주 정리한 전시 후기 → 지역 잡지 기고

  • 매일 쓴 산책 기록 → 브랜드 다이어리 제품화

  • 반려견 성장 앨범 → 반려동물 전문 콘텐츠 채널 협업

이런 흐름은 한 번에 오지 않는다.
하지만 기록된 삶은 언젠가 반드시 연결되고,
자산이 되고,
수익이 된다.


일상의 언어로 삶을 해석하는 사람이
브랜드의 언어로 세상을 설득할 수 있다

글이 길지 않아도 된다.
사진이 예술적이지 않아도 괜찮다.
중요한 건 진심을 꺼내는 습관이다.
그 습관이 ‘당신다움’을 만들고,
그 ‘당신다움’이 브랜드의 핵심 메시지가 된다.


결국 가장 오래가는 브랜드는
자신의 삶을 가장 꾸준히 기록한 사람의 것이다.

그러니 오늘도 묻지 말고 써보자.
좋든 나쁘든, 지루하든 반짝이든—
지나간 하루를 한 줄이라도 붙잡아두자.

당신의 콘텐츠는
당신이 살아낸 하루만큼 깊어지고,
그 하루하루는
누군가에게 가장 따뜻한 브랜드가 된다.

Leave a Reply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