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글: 김현청 | Brian KIM, Hyuncheong

그들은 왜 실행하지 않는가?결심은 했는데 시작은 하지 않는다, 당신에게 필요한 건 ‘능력’이 아니라 ‘실행력’이다

당신이 시작하지 않는 이유는 ‘몰라서’가 아니라 ‘익숙하지 않아서’다. 두려움은 당신의 능력이 부족한 게 아니라 창피함을 감당하지 못해서 생긴다. 성공하는 사람과 당신의 차이는 단 하나, 그들은 이미 실행했고 당신은 아직 결심만 했다는 점이다. 실행의 첫걸음은 작아도 좋다. 하지만 그걸 미루는 동안, 당신은 계속 관객으로 남을 뿐이다. 지금 바로 행동하라.

스토리의 힘은 텔링에서 완성된다이야기보다 말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좋은 스토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진짜 힘은 그것을 어떻게 말하느냐, 즉 ‘텔링’에 있다. 브랜드, 정치, 콘텐츠 모두 ‘무엇을 말하느냐’보다 ‘어떻게 말하느냐’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텔링은 리듬, 톤, 속도, 비유, 청자 중심 사고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진심을 드러내는 방식 자체가 곧 메시지의 힘이 된다.

요즘 젊은이들, 걱정 말고 기대하라구세대의 우려를 넘어, 새로운 세대가 짓는 희망의 건축물

세대 간의 차이는 늘 존재했지만, 요즘 젊은 세대는 단순히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그들은 변화에 능동적이며, 가치 중심적 사고를 가진 세대로서 새로운 희망의 지도를 그리고 있다. 기성세대의 걱정보다는 경청과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데이터의 배반, 예측의 무력화모든 것을 안다고 믿는 순간, 미래는 방향을 틀었다

우리는 데이터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려 하지만, 오늘날은 그 예측이 사회적 해석과 반응을 낳고, 결국 예측 자체를 무력화하는 패러독스의 시대에 있다. 데이터는 더 정교해졌지만, 그것을 해석하고 행동하는 인간의 복잡성은 오히려 예측을 더 어렵게 만든다. 통계는 설명력이 아니라 영향력을 가지는 순간, 객관성은 사라지고 미래는 다시 흐려진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