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글: 김현청(Hyuncheong KIM)

곁을 내어준다는 것우리는 서로의 평균값이 된다

 ‘당신은 주변 5명 사람의 평균’이라는 명제는 소득이나 성공을 넘어, ‘존재의 전염’을 의미한다. 우리는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곁에 있는 사람의 말투, 시선, 감정을 닮아가며, 이는 관계의 물리법칙과 같다. 타인의 냉소가 나의 기본값이 될 수도 있기에, 우리는 누구에게 시간을 내어줄지 의식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나아가 나 자신이 타인에게 어떤 ‘평균’을 제공하는지 성찰해야 한다. 우리는 서로에게 풍경이 되며 그 속으로 스며든다.

칭찬보다 피드백을 반기는 사람상처가 아니라 성장의 언어로 듣는 법

누군가의 조언을 들을 때 표정이 굳는 사람들이 있다. 말끝이 닿기도 전에 마음의 문이 닫힌다. 피드백을 듣는 순간, ‘나를 부정하는 말’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공격, 무시, 반대, 비난—단어는 달라도 감정의 결은 같다. 자신이 틀렸다는 생각보다 ‘내가 작아진다’는 불안이 먼저 찾아온다.

압력은 고통이 아니라 형성이다빛나려면 눌려야 한다

다이아몬드는 압력 없이 태어나지 않는다. 빛나고 싶은 마음은 흔하지만, 눌림을 견딜 마음은 드물다. 문제는 “압력” 그 자체가 아니라, 무엇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 받느냐다. 방향 없는 압력은 짓누르고, 목적 있는 압력은 단단하게 한다. 눌림이 고통이 아니라 형성이라면, 우리는 버티는 대신 빚어질 수 있다.

실패가 가르치는 몫이 가장 크다이론 10, 실천 20, 실수·실패 70의 학습 곡선

실패는 낭떠러지에서 발을 헛디딘 것과 같은 고통스럽고 생생한 감각적 각인을 남긴다. 이 각인이 가장 깊은 배움의 원천이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실패를 낙인찍으며 70%의 학습 자산을 폐기한다. 실수를 두려워하기보다, ‘성장 일지’를 작성하며 실패의 파편을 모아 더 단단한 자신을 재구성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실패는 우리를 깊어지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교실이다.

4950원의 역설: K-뷰티의 문법이 바뀌고 있다가격의 해체와 가치의 재구성, '매스 뷰티'의 귀환

4,950원 균일가 화장품의 성공은 K-뷰티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상징한다. 고물가 속에서 소비자들이 브랜드 명성보다 성분과 효능을 중시하는 ‘합리적 소비’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이마트, 무신사, 다이소 등 유통 대기업들은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신뢰받는 제조사와의 협업, AI 모델 활용 및 패키지 단순화를 통한 비용 절감, 기존 유통망 활용을 통해 ‘초저가=고품질’ 공식을 증명하고 있다. 이 ‘매스 뷰티’ 트렌드는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몽골,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화려한 약속, 텅 빈 청구서'거간형(Broker-type)' 인간 사용 설명서

사업 현장에서 마주치는 ‘거간형’ 인간들은 화려한 명분과 인맥을 내세우지만, 실질적인 자본 투입 없이 상대방의 자산과 신뢰도를 레버리지로 활용하려 한다. 이들은 종교, 학연 등 사적 인연을 빌미로 접근하여 ‘향후 큰 기회’ 라는 불확실한 미래를 약속하며, 실질적 리스크는 모두 상대방에게 전가하는 구조를 설계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약속 대신 공식 조직 검토를 내세우고, 핵심 자료 제공을 최소화하며  완곡하지만 단호하게 선을 긋는 구조적 방어가 필요하다.

싸다, 그러나 진짜다초저가 화장품 열풍과 K-뷰티의 구조 전환

이제 K-뷰티는 ‘고급화 전략’과 ‘초저가 실용주의’라는 양 극단을 모두 품어야 한다.
그 중심에 ‘진심’이 있어야 한다.
가격은 낮아도, 성분은 정직해야 한다.
포장은 단순해도, 효능은 검증되어야 한다.
유통은 간결해도, 커뮤니케이션은 투명해야 한다.

반듯함이 남기는 인상허준이 교수의 일상적 태도에서 배우는 것들

그의 다섯 가지 태도는 결코 요란하지 않았다.
그러나 들여다볼수록 깊은 여운을 남긴다.
허준이라는 이름보다,
그가 가진 삶의 리듬과 방향이 오래 기억되는 이유다.

반듯한 태도는 흉내 낼 수 없고,
단정한 삶은 설명 없이도 전해진다.
허준이 교수는 그 사실을 수식 없이 증명한 사람이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