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글: 김현청(Hyuncheong KIM)

생존의 기술, 혹은 품위를 지키는 법자존심과 가치관을 잠시 내려놓는 용기에 대하여

생존은 자존심, 가치관, 체면보다 우선하는 실존적 과제다. 거친 풍랑 속에서 배를 지키기 위해 무거운 짐을 버리듯, 삶의 위기 속에서는 생존을 위해 추상적 가치들을 잠시 내려놓는 전략적 후퇴가 필요하다. 이는 가치의 포기가 아니라, 다시 일어설 기회를 확보하는 용기 있는 선택이다. 살아남아야만 잃어버렸던 가치를 되찾고 삶의 의미를 다시 물을 수 있다. 생존 자체가 가장 품위 있는 투쟁이다.

삶의 태도, 일상의 리듬: ‘살아내는 예배’의 구조말보다 삶이 먼저인 신앙의 길

신앙은 도덕의 영역을 넘어선다. 도덕이 옳고 그름을 가르는 외부의 규범이라면, 신앙은 존재의 방향을 붙드는 내부의 의지다. 그 방향은 이웃을 향한 배려, 공동의 선을 향한 선택, 개인의 권리보다 책임을 먼저 떠올리는 자세로 발현된다. 의식(형식)이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라면, 이 내부의 리듬(의지)은 삶 전체를 관통하며 진행하는 동력이다.

사람보다 태도, 절차보다 신뢰오해의 그림자 아래서 드러나는 관계의 본질

신뢰는 공식 문서에 적히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문서의 유효기간을 결정한다. 공지의 한 줄, 회의의 한마디, 응답의 리듬이 신뢰의 체온을 만든다. 말의 정확성과 말의 질감이 함께 있을 때 관계는 오래 간다. 합의는 문장으로 끝나지만 동행은 태도로 이어진다. 절차가 방향을 지키고 사람이 속도를 맞춘다.

존중받지 못하는 관계는 놓아도 괜찮다경계는 이별의 변명이 아니라 삶의 최소 조건이다

존중은 사랑보다 먼저다. 사랑은 선택이지만 존중은 조건이다. 조건이 사라졌다면 선택을 거두는 것이 옳다. 우리가 떠나는 건 사람이 아니라, 나를 훼손하는 방식이다. 떠남이 가능할 때 비로소 더 나은 만남이 가능해진다.

MBTI, 과학의 옷을 입은 새로운 사주팔자?우리는 왜 기꺼이 나를 ‘네 글자’의 감옥에 가두는가

MBTI는 흥미로운 참고자료일 수는 있어도, 당신이라는 심오한 우주를 담아낼 수 있는 최종 보고서가 될 수는 없다. 당신은 네 글자로 정의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고, 아름다우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다. 그 사실을 잊는 순간, 우리는 나를 찾아 떠난 여행에서 네 글자의 감옥에 갇힌 종신수가 될 뿐이다.

가난의 두 좌표결핍의 온도와 비교의 그림자

가난에는 두 좌표가 있다. 절대 가난은 생존의 문턱(물·주거·칼로리·의료), 상대 가난은 소속의 문턱(정보·관계·체면·참여)이다. 한 사회의 품격은 바닥(최소 보장)을 두텁게 깔고, 천장(성장과 참여)을 낮추지 않는 데서 나온다. 정책에선 안전망과 접근성, 개인에선 필수의 확보와 관계의 확장이 해법이다. 가난은 위급할 때 개입으로, 고독할 때 초대로 줄어든다. 바닥을 받치고 자리를 넓히는 것이 곧 정의다.

거북이의 걸음으로, 계곡을 파는 물처럼속도가 신이 된 시대에 느림의 가치를 묻다

우리는 모두 토끼의 빠른 발을 부러워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기억해야 한다. 가장 빠른 길은 종종 가장 먼저 지쳐 쓰러지는 길이며, 화려한 출발이 반드시 영광스러운 도착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당신이 진정으로 멀리 가길 원한다면, 세상을 향해 소리치며 달려 나가는 토끼가 아니라, 자신의 호흡과 땅의 감촉을 느끼며 묵묵히 걸어가는 거북이의 지혜를 배워야 한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