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라는 게임재미와 효율의 이름으로 우리를 조종하는 ‘게이미피케이션’의 두 얼굴
삶의 모든 영역을 게임의 규칙으로 재편하는 ‘게이미피케이션’은 재미와 효율을 명분으로 우리의 행동을 유도한다. 하지만 즉각적인 보상 체계는 행위 자체의 즐거움인 내재적 동기를 파괴하고, 우리를 보상에 중독된 디지털 노동자로 만들 수 있다.
삶의 모든 영역을 게임의 규칙으로 재편하는 ‘게이미피케이션’은 재미와 효율을 명분으로 우리의 행동을 유도한다. 하지만 즉각적인 보상 체계는 행위 자체의 즐거움인 내재적 동기를 파괴하고, 우리를 보상에 중독된 디지털 노동자로 만들 수 있다.
우리는 날마다 시간과 돈, 그리고 에너지라는 자원을 소비하며 살아간다. 오늘, 당신은 그 소중한 자원을 어디에 사용했는가? 금세 사라질 것들에 흩뿌렸는가, 아니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빛날 당신 자신에게 투자했는가? 그 선택이 당신의 내일을 결정한다.
이제 우리는 질문을 바꿔야 한다. 어떻게 하면 더 공정한 사다리를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대신, 사다리에서 떨어진 사람도 존엄한 삶을 살 수 있는 사회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를 물어야 한다. 개인의 성공을 찬양하는 대신 공동체의 가치를 회복하고, 운과 환경의 역할을 인정하며 서로의 다름과 약함을 보듬는 사회를 상상해야 한다. 한 사람의 가치가 그의 능력이나 성취로만 평가받지 않는 사회, 그것이야말로 능력주의라는 잔인한 신화가 배신한 우리 모두를 구원할 유일한 대안이다.
나의 나눔이 누군가에게 부담이 되고 있지는 않은가? 나의 선의가 보이지 않는 기대를 품고 있지는 않은가? 돌아보아야 한다. 대가를 바라지 않는 나눔은 이기적인 세상에 던지는 가장 이타적인 질문이자, 계산적인 관계에 지친 영혼을 위한 가장 따뜻한 쉼터다. 줄 수 있을 때, 기꺼이, 그리고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고. 그럴 때 우리의 나눔은 비로소 누군가의 메마른 정원에 단비가 될 것이다.
글: 김현청(Hyuncheong KIM)블루에이지 회장;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Job談 –브랜딩, 마케팅, 유통과 수출 그리고 일상다반사까지 잡담할까요? E-mail: brian@hyuncheong.kim […]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행복마저도 ‘인증’받아야만 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하지만 진짜 행복은 타인의 승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내밀한 충만함의 순간에 존재한다. 당신이 마지막으로 온전히 당신 자신만을 위해 무언가를 경험한 것은 언제인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야말로, 경험이 상품이 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잃어버린 행복의 본질을 되찾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우리의 삶은 생각이라는 물감으로 그려지는 한 폭의 그림과 같다. 당신은 오늘 당신의 인생이라는 캔버스에 어떤 색깔의 물감을 칠하고 있는가? 그 생각의 색이 결국 당신의 세계를 결정한다.
결국 우리는 물어야 한다. 내가 지금 보고 있는 이 ‘진짜’는 누구를 위한 진짜인가? 그리고 이 질문의 끝에서, 우리는 연출되지 않은 나 자신의 삶을 긍정할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나쁜 관계를 끊어내는 것은 사회적 실패가 아니다. 그것은 나의 정신적 안녕과 성장을 위한 가장 현명한 투자이자, 나 자신에게 베풀 수 있는 최고의 예의다. 모든 사람에게 좋은 사람이 되려는 욕심을 버리자. 모두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자.
알고리즘은 세상을 비추는 거울이지만, 그 거울은 우리가 보고 싶어 하는 모습만을 비춘다. 때로는 그 거울에서 눈을 돌려, 거울이 비추지 않는 창밖의 풍경을 직접 내다보는 용기가 필요하다. 당신의 취향은 누구의 것인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여정은, 알고리즘에 감금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포기해서는 안 될 마지막 자유의 영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