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 마케팅_10] 스타벅스와 교회: 사람들이 ‘공간’에 열광하는 이유
사람들은 매일 스타벅스로 출근하고,
어떤 이는 주말이면 성당이나 교회에 들른다.
이 두 장소는 겉보기에 전혀 다르지만, 사람들이 이끌리는 방식은 놀랍도록 닮았다.
사람들은 매일 스타벅스로 출근하고,
어떤 이는 주말이면 성당이나 교회에 들른다.
이 두 장소는 겉보기에 전혀 다르지만, 사람들이 이끌리는 방식은 놀랍도록 닮았다.
한때 ‘K’는 변방의 기호였다.
한국 드라마는 아시아 한정 콘텐츠였고, 한국 가수는 일본과 중국에서만 통했다.
그러나 지금, K-드라마, K-팝, K-푸드, K-뷰티는 세계 시장의 중심에서 문화 강국들의 브랜드를 압도하고 있다.
광장은 권력의 중심이었다.
아테네 시민들이 모여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고, 프랑스 혁명군이 바스티유 감옥으로 향하던 길목, 1980년 광주의 전남도청 앞마당과 1987년 서울의 명동성당까지— 광장은 민주주의의 현장이자, 민심이 모이는 물리적 공간이었다.
아이폰 출시 날, 밤샘 줄을 서는 사람들.
루이비통 로고가 박힌 지갑을 들고 자부심에 찬 표정을 짓는 소비자.
스타벅스의 커피가 아닌, 경험을 마시며 하루를 시작하는 수많은 사람들.
단순한 제품 이상의 의미,
그들은 단지 소비자가 아니라 신자이며, 추종자이며, 전도사다.
리더십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합리와 제도의 리더십, 인간미와 배려의 리더십,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압도적 존재감의 리더십.
우리는 그것을 ‘카리스마’라고 부른다.
어느 날, 서울 북촌 한옥마을에 자리 잡은 스타벅스 매장이 화제가 되었다.
유리창도 간판도 없이 한옥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 내부만 현대적으로 리모델링된 이 공간은 사람들로 하여금 의문과 감탄을 동시에 자아냈다.
“이건 전통인가, 혁신인가?”
명품 매장 앞에 긴 줄이 서 있다. 가방 하나 사려면 몇 달을 기다려야 하고, 예약도 쉽지 않다.
사람들은 묻는다. “재고가 없어서 그래요?”
하지만 진짜 이유는 그게 아니다.
명품 브랜드는 일부러 없는 척 한다.
희소해 보여야 더 가치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가짜 희소성’의 심리 전략이다.
사람들은 흔히 말한다. “그냥 로고 하나 바꿨을 뿐인데.”
그러나 로고 하나 바꾸면 매출이 흔들리고, 충성 고객이 떠나간다.
누구나 알고 있다. 로고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과 감정, 그리고 기억을 통째로 담은 기호라는 것을.
사람들은 흔히 묻는다. “브랜드 디자인 언제 나와요?”
이 말 속에는 브랜딩이 곧 로고와 디자인의 문제라는 오해가 깔려 있다. 그러나 브랜딩은 보이는 것보다 훨씬 깊고 넓은 세계다.
로고는 브랜드의 얼굴일 뿐이며, 진짜 정체성은 그 얼굴 뒤에 숨겨진 철학과 가치, 그리고 경험의 축적에서 나온다.
브랜드는 단순한 이름이나 로고가 아니다. 그것은 철학이며, 세계관이며, 하나의 신념 체계다.
소비자는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가 지닌 가치와 서사를 소비한다.
브랜드가 철학일 수밖에 없는 이유—그 해답은 로마제국과 애플이라는 전혀 다른 두 거인에게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