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우리는 서로의 번역자다말보다 마음을, 관점보다 감정을 통역하며 사는 삶
아내는 통번역자다. 매주 다문화센터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한국어와 그들의 언어 사이를 오간다. 말이 통하지 않아 병원 진료를 포기하려던 이주 여성에게 그녀는 ‘의사와 보호자 […]
아내는 통번역자다. 매주 다문화센터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한국어와 그들의 언어 사이를 오간다. 말이 통하지 않아 병원 진료를 포기하려던 이주 여성에게 그녀는 ‘의사와 보호자 […]
지식은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쌓는 것도 맞지만, 그보다 앞서는 본질은 배워서 이롭게 하기 위함이다. 지식은 머릿속에만 머물면 기능이지만, 누군가에게 건네지고 세상을 비추는 순간부터 […]
어릴 적 우리는 누군가를 동경했다. 만화 속 주인공, 먼 나라의 사상가, 자기 분야에 몰두한 사람. 그들은 단지 잘나서 멋져 보인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방식으로 […]
그뿐이 아니었다. 간단한 콩나물국을 끓이더라도 레시피를 보고 따라 해보았지만 다시 해달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았다. 도무지 익숙해지지 않는 일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
살다보면 살아진다. 억지로가 아니라 그저 어느 날 숨이 붙어 있고, 걷고 있고, 먹고 있고, 웃고 있더라. 누가 살리려 한 것도 아닌데 어디선가 바람이 불고, […]
인공지능과 로봇이 인간 노동을 대체하는 시대가 이미 도래했다. 과거 산업혁명 당시 기계가 인간의 육체적 노동을 대체했다면, 오늘날 우리는 지능적 판단과 감정적 노동마저 기술로 대체되는 […]
사람들은 자꾸 묻는다. “당신은 진보입니까, 보수입니까?” “이게 맞습니까, 저게 맞습니까?” A냐 B냐, 채찍이냐 당근이냐, 늘 선택을 강요받고, 늘 옳음을 증명하길 요구받는다. 그러나 삶은 그렇게 […]
누군가는 이 나라를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라 말한다.누군가는 한강의 기적을 입에 올리고,누군가는 1인당 GDP 수치로 자부심을 삼는다. 하지만 그 번영의 숫자 뒤에정작 이름 없이 사라진 […]
고부갈등은 사랑의 부족이 아니라, 제도의 과잉 때문이다. 며느리라는 단어는 한국 사회에서 단순한 가족 구성원이 아니다. 그건 하나의 직책이고, 의무이고, 심지어 감정까지도 규정당한 ‘역할’이다. ‘며느리 […]
새우젓은 오랜 세월 전통 발효식품으로 한국인의 밥상에 올랐으나, 이제는 새로운 시대적 문맥 속에서 ‘재탄생’이 필요합니다. 특히 코인육수, 시즈닝, 분말형태의 가공을 통해 B2C뿐 아니라 B2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