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s Blog
이곳은 사유(思惟)의 여정을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하루의 감정, 삶의 질문, 신앙의 균형, 말과 글의 무게—그 모든 것들이 작은 단상으로 쌓여 한 꼭지의 글이 됩니다.
때로는 성찰로, 때로는 위로로, 당신의 하루에 조용히 스며드는 문장들이 있기를 바랍니다.
대통령의 시간은 국민의 삶을 늦춘다지체된 결정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비용
정치는 속도의 예술이다.타이밍을 놓친 개혁은 구호가 되고,늦은 사과는 변명이 된다.특히 대통령의 결정은 단 한 번의 판단으로수많은 사람의 삶의 방향을 바꾼다. 그러나 오늘날 대통령의 시간은 […]...
말뿐인 정치, 멈춰버린 개혁개혁을 말하는 순간 개혁은 죽고, 실천에서 살아난다
개혁은 가장 많이 언급되는 정치어휘이지만,동시에 가장 많이 배신당한 단어이기도 하다.정치인은 선거 때마다 개혁을 외치지만,정작 정권을 잡고 나면개혁은 미루고, 나중으로 미뤄지고,결국 ‘말뿐인 개혁’으로 끝난다. 개혁은 […]...
감추는 힘, 말하지 않는 전략침묵은 가장 날카로운 무기일 수 있다
요즘은 다 보여주는 시대다.계좌 잔고부터 감정 상태, 식사 메뉴까지가감 없이 노출되고,드러내야 살아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보여주는 만큼 가벼워지고,말하는 만큼 신뢰를 잃는 경우도 있다. 말을 아끼는 […]...
유튜브 20년: 우리는 어떻게 변화했는가?“Me at the zoo”에서 시작된 미디어 혁명
2005년 4월 23일, 유튜브 공동 창립자 자웨드 카림(Jawed Karim)이 올린 18초짜리 영상 "Me at the zoo"가 세상에 첫선을 보였다. 단순한 동물원 방문 기록이었지만, 이 짧은 영상은 새로운 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이제 20년이 지난 오늘날, 유튜브는 단순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넘어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거대한 미디어 생태계가 되었다...
확신 중독대중은 왜 양날의 검에 빠지는가
우리는 지금 확신의 시대를 살고 있다.더 정확히 말하면, 확신에 중독된 시대다.사실보다 감정이 빠르고, 증거보다 확신이 우선되는 시대.이런 흐름 속에서 대중은 점점 더 단호한 말, […]...
조용히 잘난 사람의 품격덜 자랑하고, 더 멋있기
정말 잘난 사람은 떠들지 않는다.자신이 이룬 성과를 굳이 내세우지 않아도,그 사람의 태도나 말끝, 혹은 그가 만들어낸 결과가 조용히 말해주기 때문이다. 소란스러운 자랑에는 불안이 섞여 […]...
[명언 아카이브_38] 일상 (Everyday Life)일상은 특별한 날 사이의 공백이 아니라, 삶의 진짜 얼굴이 머무는 자리다
문학과 예술가 어록 편 “나는 위대한 문장을 쓰려 하지 않았다. 하루의 기척을 기록했을 뿐이다.” – 루이스 글릭 “일상의 작은 틈에서 가장 깊은 시가 피어났다.” […]...
[명언 아카이브_37] 예술 (Art)예술은 삶을 그대로 모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다시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문학과 예술가 어록 편 “예술은 진실을 감추지 않는다. 오히려 감추는 방식으로 드러낸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나는 말보다 붓으로 먼저 울었다.” – 프리다 칼로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죽음조차 희망으로 승화시킨 인간 존엄성의 승리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처음 펼쳤을 때, 나는 한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고통의 한계와, 그 한계 너머에서 피어나는 희망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
책임지는 정치, 책임지는 대통령책임 회피가 반복될수록 공동체는 무너진다
정치는 결과의 예술이 아니라,책임의 서사여야 한다.그런데 오늘날 한국 정치는실패는 말단에게,실언은 참모에게,분노는 시민에게 돌리는 책임 회피의 정치에 익숙해졌다. 특히 대통령제에서는그 정점이 바로 대통령이다.대통령이 책임을 지지 […]...
불은 안에서 타고 있었다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지 말기
화를 잘 내지 않는 사람이 있다.화를 안 내는 게 아니라,화를 조용히 태우는 사람이다. 말 대신 침묵으로,호통 대신 눈빛으로,그는 매번 그 불을 안에서 끌어안는다. 누군가는 […]...
비전 없는 관리형 정치는 왜 국가를 지치게 하는가유지와 관리가 아닌, 설계와 비전으로
한국 정치는 어느 순간부터 ‘관리’라는 이름으로 멈춰 섰다.공무원처럼 굴고,관료처럼 말하고,위기를 ‘버티기’로 돌파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은 그 버팀목 위에미래를 세울 수 없다.정치는 유지가 아니라 변화의 […]...
남의 삶을 자주 구경하면 내 삶은 자주 비어간다SNS 들락거리면서 시간 낭비하지 말자
사람은 자기도 모르게 타인의 시간을 들여다보곤 한다.그게 습관이 되면,자신의 시간은 조금씩, 조용히 사라진다. 남의 SNS를 자주 들여다보는 일에는 이유가 있다.심심해서일 수도 있고, 외로워서일 수도 […]...
[브랜딩 바이블] 다윗과 브랜드의 진심진짜는 결국 들킨다
사람은 완벽한 존재를 사랑하지 않는다.사람은 진짜를 사랑한다. 다윗은 전쟁의 영웅이었지만,살인을 저질렀고, 간통을 숨겼고,아들 앞에선 무기력했다. 그런데도 그는 여전히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라 불린다.왜일까? 브랜드는 […]...
리더는 보이는 존재인가, 느껴지는 존재인가존재감과 실재감 사이의 리더십
세상은 리더에게 ‘존재감’을 요구한다.자주 나와 말하라,행보를 보여라,SNS에 근황을 올려라. 그러나 정치는 존재감보다 실재감이 중요하다.눈에 보이는 사람이 아니라,삶의 현장에서 ‘느껴지는 사람’이어야 한다.그가 직접 나타나지 않아도,그의 […]...
아무 말 못 하는 지금도 괜찮습니다조용히 무너지고 있는 당신에게
지금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그 시간이얼마나 깊고 고통스러운지잘 압니다. 세상이 천천히, 그러나 무섭게 조여오고목구멍이 바짝 메여“도와주세요”라는 한마디조차너무 멀게 느껴지는 그 시간.울고 싶은데눈물마저 […]...
[로컬브랜드_01] 프롤로그: 브랜드는 먼 데 있지 않다
우리는 브랜드라 하면 크고 화려한 간판을 떠올린다.광고판에 등장하는 유명 연예인,수십만 팔로워를 가진 인플루언서,유니폼을 맞춰 입고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체인점의 풍경. 하지만 정작,우리 삶을 오래 기억에 […]...
[로컬브랜드_02] 누구나 가능한 로컬 브랜드의 시작 1브랜드는 이름보다 이야기가 먼저다
사람들은 자주 묻는다.“브랜드 이름을 뭘로 지어야 할까요?”“로고는 어떤 느낌으로 해야 할까요?”“팔로워를 어떻게 늘리면 좋을까요?” 하지만 정작 중요한 질문은 빠져 있다.왜, 당신은 이 일을 하려고 […]...
[로컬브랜드_03] 누구나 가능한 로컬 브랜드의 시작 2동네 안에 기회는 있다 – 당근마켓과 로컬 커뮤니티
우리는 기회를 너무 멀리서 찾는다.서울 강남의 스타트업,미국 실리콘밸리의 유니콘 기업,잘 나가는 브랜드의 SNS 마케팅 전략. 하지만 정작,내가 살고 있는 동네의 반경 3km 안에서기회를 발견하는 […]...
[로컬브랜드_04] 누구나 가능한 로컬 브랜드의 시작 3작게, 하지만 진심으로 – 콘텐츠 3원칙
대부분의 사람은 콘텐츠를 ‘잘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그래서 시작을 망설인다.“글을 잘 못 써요.”“제가 올려도 누가 보겠어요.”“남들처럼 예쁘게 못 해요.” 하지만 기억하자.로컬 브랜드는 ‘콘텐츠의 완성도’보다‘진심의 지속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