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s Blog

말과 글, 그리고 생각의 사원(寺院)

‘Kim’s Blog’는 업무와 삶을 가로지르는 에세이와 칼럼이 어우러지는 생각의 기록실입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잊지 말아야 할 통찰을 남기며, 오늘의 경험을 내일의 지혜로 엮어가는 사유 저장소이자 타인을 위한 공적 아카이빙입니다.

숫자로 말하는 정치의 함정지표는 회복됐다는데, 왜 삶은 여전히 고단한가?

정부는 매년 수치를 발표한다.GDP 성장률 몇 퍼센트, 실업률 하락, 소비자 심리지수 반등.보고서의 지표들은 선명하고,브리핑룸의 목소리는 낙관적이다. 하지만 현실의 거리는 다르다.버스 안에서는 한숨이 흘러나오고,편의점 아르바이트생은 […]...

왜 대중은 ‘극단’에 끌리는가불확실한 시대, 확실한 자극의 유혹

우리는 매일같이 스크린을 넘긴다.자극적 뉴스, 선동적 콘텐츠, ‘말 같지도 않은 말’이 쏟아지는 세상.그런데 이상하지 않은가?그 허무맹랑한 말들에 사람들이 ‘끌린다’는 것.오히려 온건하고 이성적인 목소리는 묻히고,선명하고 […]...

[허허실실] 슬로건이 아니라 철학을 말하는 대통령공감과 마케팅이 아닌, 방향과 근거를 말하는 리더

정치는 말의 예술이다. 그러나 이제 정치는너무 많은 ‘슬로건’을 말하고너무 적은 ‘철학’을 말한다. “공정과 정의”, “민생 제일주의”, “실용정부”,이 슬로건들은 그럴듯하지만,‘어떻게’, ‘왜’, ‘무엇을 위해’라는 본질적 질문에 […]...

AI 윤리를 교양 아닌 기술 기본값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알고리즘은 도덕적 중립이 아니다

AI 윤리는 대부분의 기술 강의에서 맨 마지막에 잠깐 다뤄지는 파트다.“이제 윤리도 생각해봐야겠죠”“기술이 너무 빠르니까, 이제는 책임도 따라가야 합니다”혹은“그래서 요즘은 AI 윤리도 알아야 해요” 그렇게 […]...

예수없는 예수교광장의 기독교는 누구의 하나님을 섬기고 있나

[허허실실] “다 이기고 돌아왔다.”대한민국의 대통령이 한 말이다.탄핵반대를 주장하며 광장으로 나선 한 역사 강사가 이렇게 답한다.“그 말씀, 예수님 같습니다.” 광장에 울려 퍼지는 구호는 “주여!”이고노래는 찬송가다.태극기와 […]...

위대한 사람보다, 좋은 제도가 먼저다가끔 성군은 나오지만, 권력은 사람을 믿어선 안 된다

역사는 때때로 놀라운 인물을 탄생시킨다.백성을 품은 왕,비전을 품은 지도자,희생을 각오한 개혁자.그들을 우리는 ‘성군’, ‘영웅’, 혹은 ‘위대한 인물’이라 부른다. 하지만, 그런 인물은늘 예외였고,언제나 드물었다. 좋은 […]...

인격보다 상식, 청렴보다 염치우리는 더 이상 위인을 원하지 않는다

정치는 신념의 무대가 아니다. 특정한 인격이나 인품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 구조는 언제든 독선과 선민의식을 키운다. 그것이 아무리 ‘청렴함’과 ‘정의감’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될지라도 정도(正道)에서 벗어난 권위주의는 결국 그 자체로 위험한 신념 독점이 된다...

좋은 어른이 되기 위한 일곱 가지 조건존경은 나이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쓰담쓰談] 세상에는 많고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진짜 어른은 드물다.나이는 숫자일 뿐이고,직함은 순간의 껍데기일 뿐이다.사람이 사람을 향해존경의 눈빛을 보내는 일은그저 오래 살아서가 아니라,어떻게 살아왔는가에서 비롯된다. 좋은 […]...

기술이 만든 불평등을 다시 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가진보의 이름으로 심화되는 격차와, 재설계되지 않는 윤리의 부재

기술은 언제나 ‘진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증기기관은 육체노동을 해방시켰고,전기는 야간 노동을 가능케 했으며,인터넷은 공간의 제약을 무너뜨렸다.AI는 이제 ‘인간의 판단’마저 자동화하는 시대로 우리를 데려왔다. 그러나 기술은 진보했지만,그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