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쓰담쓰談 & 허허실실

추석의 찻잔에 담긴 추억의 ‘라떼’누군가 당신에게 추억의 '라떼'를 건네거든

‘라떼는 말이야’는 기성세대의 일방적 소통을 비판하는 젊은 세대의 풍자적 표현이다. 추석과 같은 가족 모임에서 이를 ‘꼰대 문화’에 대한 반감으로만 치부하기보다, 그 속에 담긴 기성세대의 삶의 증명과 서툰 애정 표현의 의도를 읽는 ‘적극적 번역’이 필요하다. 일방적 회고를 비난하기보다 질문을 통해 대화로 전환함으로써 세대 간 소통의 단절을 극복하고 진정한 관계를 회복할 수 있다. ‘라떼’를 무기가 아닌, 세대를 잇는 따뜻한 음료로 만드는 지혜가 요구된다.

K-콘텐츠의 역설세계는 왜 한국의 절망에 열광하는가

K-콘텐츠의 눈부신 성공은, 우리의 상처를 파내어 보석으로 세공해낸 기술의 승리다. 전 세계는 우리의 가장 깊은 절망을 들여다보며 자신들의 불안한 현실을 투영하고, 그 안에서 기이한 위안과 쾌감을 얻는다. 우리는 이제 세계에 우리의 문제를 성공적으로 수출했다. 남은 질문은 이것이다. 이 절망의 서사는 단지 현상을 비추는 거울에 머물 것인가, 아니면 그 너머의 세상을 상상하게 하는 창문이 될 수 있을 것인가. 그 답은 다음에 등장할 K-콘텐츠의 손에 달려 있다.

거절이라는 문 앞에서상처가 아닌 정보로, 실패가 아닌 나침반으로

거절은 우리 삶의 방향을 알려주는 거친 나침반과 같다. 그것은 때로 우리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는 것을 막아주고,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더 명확하게 깨닫게 해준다. 수많은 거절을 겪으며 우리는 더 단단해지고, 어떤 문이 닫혀도 스스로 새로운 문을 만들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얻게 된다. 세상의 모든 문이 나를 위해 열려있어야 한다는 기대를 버릴 때, 우리는 비로소 닫힌 문 앞에서 좌절하는 대신, 열린 문을 찾아 나서는 자유로운 여행자가 될 수 있다.

껍데기는 가라, 알맹이로 승부하라보이지 않는 것들이 우리를 어떻게 지탱하는가

세상은 우리에게 더 화려해지라고, 더 돋보이라고 끊임없이 유혹한다. 하지만 그 소란스러운 목소리 속에서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겉모습은 언젠가 낡고 스러지지만, 잘 벼려진 인격의 빛은 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깊고 은은한 향기를 뿜어낸다는 사실을. 당신의 진짜 가치는 타인의 시선이 아닌, 당신의 내면에서 발견된다.

24시간 불 밝힌 도시의 축도(縮圖)우리의 밤은 편의점에서 얼마나 깊어지는가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편의점은 현대 도시인의 삶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진열대에 놓인 즉석식품들은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사회의 단면을, 1인용 상품들은 파편화된 개인의 고독을 드러낸다. 최소한의 상호작용으로 유지되는 이곳은 고독을 위한 완벽한 인프라를 제공하지만, 그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홀로 서는 용기세상의 링 위에서 나를 지켜낼 단 한 사람

당신의 삶이라는 링 위에서 가장 든든한 코치는 바로 당신 자신이어야 한다. 세상이 던지는 비난과 상처의 주먹 앞에서 움츠러들지 말자. 당신에게는 그것을 피하고, 막아내고, 때로는 역습할 힘이 이미 존재한다. 그 힘을 믿고 스스로를 지켜낼 때, 당신은 비로소 인생이라는 경기의 진정한 승자가 될 것이다.

국민 메신저, 사생활의 경계를 묻다카카오톡 개편 논란의 구조주의적 해체

카카오톡의 개편은 우리에게 편의성(Convenience)이라는 달콤한 유혹과 프라이버시(Privacy)라는 소중한 가치 사이에서, 우리의 삶을 누가 통제할 것인가라는 실존적 질문을 던졌다. 당신의 일상다반사(Routine) 속에서 진정한 주체(Subject)는 누구인가?

단순함은 궁극의 정교함이다.

글: 김현청(Hyuncheong KIM)블루에이지 회장;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Job談 –브랜딩, 마케팅, 유통과 수출 그리고 일상다반사까지 잡담할까요? E-mail: brian@hyuncheong.kim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