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쓰담쓰談 & 허허실실

새해 꿈은 좋지만, 계엄은 악몽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편지를 읽고

“국민 여러분, 새해 좋은 꿈 많이 꾸셨습니까?”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혐의로 체포된 이후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에게 보낸 장문의 손편지 첫 문장은 이렇게 시작된다. 새해의 꿈 이야기를 꺼냈지만, 정작 국민에게 선사한 것은 계엄령이라는 헌정사적 악몽이었다. 편지 곳곳에서 그는 자신을 민주주의의 수호자로, 계엄을 ‘국가위기 극복을 위한 정당한 조치’로 포장하며 끊임없이 스스로를 정당화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그 편지 한 줄 한 줄이 오히려 그의 권력 남용과 반민주적 행태를 풍자하듯 드러낸다.

졸혼시대, 황혼부부를 위한 ‘따로 또 같이’

동창 모임인지 친구 모임인지 모르겠지만 50대 전후 주부들의 수다가 요란스럽다. 아이들 이야기로 시작해, 시댁 이야기로 남편 이야기로 옮겨간다. 이야기를 가만히 듣고 있던 한 친구가 “결혼한 지 10년이 되면 이혼하는 것을 법으로 만들면 좋겠어”라며 말하자 모두 그래야 한다며 손뼉을 쳤다.

태극기와 성조기의 이중주,
극보수주의자들의 상징 정치

거리를 가득 메운 태극기와 성조기의 물결. 이 장면은 한국 현대 정치의 극보수주의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강렬한 시각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그들은 태극기의 자부심과 성조기의 동맹을 한데 엮어 ‘자유와 애국’을 외치지만, 이 이중주는 그저 단순한 깃발의 나부낌이 아니다. 이는 역사적 트라우마, 냉전 시대의 잔재, 그리고 현재의 정치적 불안감이 뒤엉킨 상징적 퍼포먼스이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