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딩 & 마케팅_07] 소비자 충성도는 어떻게 종교화되는가? 브랜드와 신앙의 유사점
아이폰 출시 날, 밤샘 줄을 서는 사람들.
루이비통 로고가 박힌 지갑을 들고 자부심에 찬 표정을 짓는 소비자.
스타벅스의 커피가 아닌, 경험을 마시며 하루를 시작하는 수많은 사람들.
단순한 제품 이상의 의미,
그들은 단지 소비자가 아니라 신자이며, 추종자이며, 전도사다.
아이폰 출시 날, 밤샘 줄을 서는 사람들.
루이비통 로고가 박힌 지갑을 들고 자부심에 찬 표정을 짓는 소비자.
스타벅스의 커피가 아닌, 경험을 마시며 하루를 시작하는 수많은 사람들.
단순한 제품 이상의 의미,
그들은 단지 소비자가 아니라 신자이며, 추종자이며, 전도사다.
리더십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합리와 제도의 리더십, 인간미와 배려의 리더십,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압도적 존재감의 리더십.
우리는 그것을 ‘카리스마’라고 부른다.
어느 날, 서울 북촌 한옥마을에 자리 잡은 스타벅스 매장이 화제가 되었다.
유리창도 간판도 없이 한옥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 내부만 현대적으로 리모델링된 이 공간은 사람들로 하여금 의문과 감탄을 동시에 자아냈다.
“이건 전통인가, 혁신인가?”
사람들은 흔히 묻는다. “브랜드 디자인 언제 나와요?”
이 말 속에는 브랜딩이 곧 로고와 디자인의 문제라는 오해가 깔려 있다. 그러나 브랜딩은 보이는 것보다 훨씬 깊고 넓은 세계다.
로고는 브랜드의 얼굴일 뿐이며, 진짜 정체성은 그 얼굴 뒤에 숨겨진 철학과 가치, 그리고 경험의 축적에서 나온다.
브랜드는 단순한 이름이나 로고가 아니다. 그것은 철학이며, 세계관이며, 하나의 신념 체계다.
소비자는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가 지닌 가치와 서사를 소비한다.
브랜드가 철학일 수밖에 없는 이유—그 해답은 로마제국과 애플이라는 전혀 다른 두 거인에게서 찾을 수 있다.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이 두 기술은 지금 시대의 중심에 있다.
하나는 스스로 판단하고 예측하는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신뢰와 투명성을 담보하는 기술이다.
각자도 이미 강력하지만, 이 두 기술이 결합할 때 비로소 우리는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을 목격하게 된다.
기계는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이제는 감정을 측정하고, 분류하고, 예측한다.
AI는 감정을 ‘이해’한다고 말하고, 사람들은 그 AI와 웃고 울며 대화한다.
이 기묘한 시대, 우리는 묻는다.
AI는 인간의 감정을 진짜로 이해할 수 있는가?
AI 열풍은 거세다. 너도나도 ‘AI 기반’, ‘딥러닝 솔루션’, ‘생성형 기술’을 외치며 시장에 뛰어든다.
하지만 냉정한 통계가 말해준다. AI 스타트업의 90%는 3년 내 사라진다. 기술은 넘치고, 시장은 포화되며, 고객은 의심한다.
결국 진짜 질문은 이것이다. 어떤 AI 스타트업이 살아남는가?
AI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심지어 의사를 대신해 진단하고 판사처럼 판결을 내리는 시대. 우리는 점점 더 자주 묻는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과연 무엇이 남아 있는가?
그러나 이 질문은 거꾸로 읽어야 한다. AI는 무엇을 할 수 없고,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기술은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든다. AI는 그 기술의 정점이다.
길을 안내하고, 병을 진단하며, 돈을 굴리고, 감정을 분석한다. 심지어 문장을 쓰고, 사람을 대신해 결정까지 내린다.
우리는 그 놀라운 정확함에 놀라며, 어느새 묻는다. ‘기계가 이 정도면 믿어도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