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Job談-잡담

그들은 왜 실행하지 않는가?결심은 했는데 시작은 하지 않는다, 당신에게 필요한 건 ‘능력’이 아니라 ‘실행력’이다

당신이 시작하지 않는 이유는 ‘몰라서’가 아니라 ‘익숙하지 않아서’다. 두려움은 당신의 능력이 부족한 게 아니라 창피함을 감당하지 못해서 생긴다. 성공하는 사람과 당신의 차이는 단 하나, 그들은 이미 실행했고 당신은 아직 결심만 했다는 점이다. 실행의 첫걸음은 작아도 좋다. 하지만 그걸 미루는 동안, 당신은 계속 관객으로 남을 뿐이다. 지금 바로 행동하라.

스토리의 힘은 텔링에서 완성된다이야기보다 말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좋은 스토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진짜 힘은 그것을 어떻게 말하느냐, 즉 ‘텔링’에 있다. 브랜드, 정치, 콘텐츠 모두 ‘무엇을 말하느냐’보다 ‘어떻게 말하느냐’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텔링은 리듬, 톤, 속도, 비유, 청자 중심 사고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진심을 드러내는 방식 자체가 곧 메시지의 힘이 된다.

택시기사 대리운전 등의 직업의 전망기술과 시장의 변주 속에서 재편되는 운전 노동의 미래

택시와 대리운전 직업은 자율주행 기술·플랫폼 독점·규제 공백으로 인해 구조적 위기에 직면했다. 법인택시 기사 월수입 200만 원, 대리기사 순익 150만 원 대의 열악한 경제적 조건 속에서 기술 대체 위험은 가속화된다. 그러나 펫택시·실버 대리운전 등 니치 시장과 협동조합 모델은 새로운 가능성을 연다. 노동의 본질을 운전에서 인간 고유의 역량으로 재정의할 때, 위기는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속도는 어느 정도일까일자리의 변화와 새로운 직업의 등장

AI는 2025~2030년 사이 단순·반복 업무를 중심으로 인간의 일자리를 빠르게 대체할 전망이다. 국내 일자리의 90%가 6년 내 AI로 대체 가능하다는 분석도 있다. 변화는 점진적으로 진행되다가 경기침체 등 외부 충격 시 급격히 가속화될 수 있다. 동시에 데이터 전문가 등 새로운 직업이 등장해 전체 일자리의 7% 순증가가 예상된다. 변화의 속도는 상상보다 빠르다.

부유한 무직사회노동 없이 풍요를 쌓는 미래가 올 것인가

인공지능과 자동화 기술의 발전은 노동과 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 일자리의 90%가 AI에 의해 대체 가능하다는 전망과 함께, 패시브 인컴과 기본소득이라는 개념이 노동 없이도 부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기술적 가능성 뿐만 아니라 사회적 선택의 문제이다. 기술이 창출하는 부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노동의 의미를 어떻게 재정의할 것인지에 따라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수 있다. 완전한 탈노동보다는 인간이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활동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노동의 재정의’가 더 현실적인 미래로 보인다. 결국 우리는 ‘일하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세상’보다는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