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아직 아무 이름도 가지지 못한 채 잠들어 있던 시간, 빛도 그림자도 태어나지 않았던 그 전(前)의 순간, 우주는 단지 하나의 숨결도 없이 정적 속에 잠겨 있었다. 그것은 시작조차 없는 시작, ‘무’(無)조차 인식되지 않은 상태였다. 시간과 공간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는, 말 그대로 총체적 혼돈(Chaos). 이 침묵과 어둠의 거대한 심연 속에서, 마치 자연스레 스며나오듯 무엇인가가 깨어나기 시작했다.
그것은 처음으로 ‘존재’라는 개념을 품은 의지였다. 이름 없는 그 존재는 의식도 없고 형태도 없었지만, 스스로를 구별하는 첫 번째 떨림이었다. 바로 그 순간, 태초의 신들이 등장했다. 그들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의 확장, 혹은 혼돈이 자기를 인식하면서 파생된 현상적 존재였다. 신이라 불리기 이전, 이들은 ‘근원’이었다.
태초의 신들은 쌍으로, 혹은 대비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각각은 상징적 에너지이자 질서의 씨앗이었다.
먼저 나타난 것은 어둠의 여신 ‘녹스(Nox)’와 빛의 신 ‘아이테르(Aether)’. 녹스는 모든 것을 감싸는 무한의 밤, 깊은 잠과 종말의 씨앗을 품은 자였고, 아이테르는 그 반대로 첫 번째 광명의 떨림, 형태와 의식의 싹이었다. 둘은 서로를 견제하며, 동시에 서로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이원적 균형의 시초가 되었다.
이어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Gaia)’가 눈을 떴다. 그녀는 자신 안에 수천 겹의 생명을 잠재우고 있었으며, 땅이란 단어조차 없던 세계에서 무게와 기반의 개념을 만들어냈다. 가이아는 곧 하늘의 신 ‘우라노스(Uranus)’를 낳았다. 우라노스는 확장과 덮음, 하늘의 지붕으로서 가이아를 감싸며 공간의 개념을 부여했다.
그리고 바람의 신 ‘아네모이(Anemoi)’, 물의 여신 ‘탈라사(Thalassa)’가 등장하면서, 세계는 점차 움직임과 순환, 흐름을 얻게 되었다. 정체되어 있던 혼돈은 이 신들에 의해 처음으로 방향성을 갖기 시작했다. 물은 형태 없이 모든 틈으로 스며들며 경계를 허물었고, 바람은 움직임과 숨결을 불어넣으며 생명의 전조를 만들었다.
신들은 자신들의 속성과 힘으로 무형의 세계에 첫 번째 규칙을 심었다. “어둠은 밤이라 불릴 것이며, 빛은 낮이라 불릴 것이다.” 이처럼, 존재의 최초 정의는 곧 이름 짓기(name giving)에서 비롯되었다. 이름을 붙이는 순간, 신들은 무정형의 상태에 경계와 구분을 주었고, 이로써 우주는 비로소 ‘형태 있는 세계’로 이행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태초의 신들은 창조주의 전능한 존재라기보다, 서로 다른 속성 간의 충돌과 조율을 통해 현실을 빚어낸 원소적 의지였다. 그들은 절대적 권위자가 아니라 세계의 골격을 구성하는 원형(archetype)으로 존재했다. 창조는 어떤 목적을 가진 계획이 아니라, 마치 만물이 자기 조직을 찾으려는 자연의 내적 논리처럼 전개되었다.
이러한 질서의 흐름 속에서, 그들은 결국 시간의 개념을 만들어내게 된다. 시간은 곧 변화이며, 변화는 곧 생명의 시작이자 끝을 뜻했다. 이후 태초의 신들은 저마다의 세계로 흩어졌고, 새로운 신들, 즉 세대 신들(Titans, Olympians 등)의 탄생을 예고하며 자신들의 역할을 물러나듯 축소시켜 갔다.
그리스인들은 세상의 시작을 카오스라 불렀다. 카오스는 끝없는 공허, 모든 것이 섞여 있는 혼돈 그 자체였다. 카오스에서 가이아(대지), 타르타로스(지하세계), 에로스(사랑), 그리고 어둠의 신 에레보스와 밤의 여신 닉스가 태어났다. 가이아는 스스로 하늘의 신 우라노스를 낳고, 그와 결합해 티탄, 거인, 키클롭스 등 수많은 신과 괴물의 어머니가 된다. 닉스는 어둠과 밤의 신들을 낳으며, 세상에 빛과 어둠, 낮과 밤의 질서를 가져온다. 이처럼 그리스 신화의 태초 신들은 자연의 힘과 감정, 세상의 근본 원리를 상징한다.
이집트의 창조 신화는 끝없는 물의 바다 누(Nu)에서 시작된다. 누는 모든 것의 근원이자, 아직 아무것도 구분되지 않은 원초적 혼돈이었다. 누에서 최초의 신 라(Ra)가 태어난다. 라는 태양의 신으로, 자신의 힘으로 어둠을 밀어내고 빛을 세상에 가져온다. 라는 스스로를 창조하고, 눈물에서 인간을, 숨결에서 신들을 만들어낸다. 이집트의 태초 신들은 자기 자신을 낳고, 스스로 세상을 창조하는 신비로운 힘의 상징이다.
북유럽의 신화에서는 차가운 얼음과 뜨거운 불이 만나는 곳, 깊은 심연 긴눙가가프에서 최초의 거인 이미르(Ymir)가 태어난다. 이미르는 얼음의 녹은 물에서 태어나 자신의 몸에서 새로운 생명들을 만들어낸다. 이미르의 땀에서 거인들이, 다리에서 남자와 여자가 태어난다. 신들은 이미르를 희생시켜 그의 몸으로 하늘, 땅, 바다, 구름을 만든다. 북유럽의 태초 신화는 자연의 극한과 희생, 그리고 그 속에서 태어나는 새로운 질서를 노래한다.
중국에서는 혼돈의 알에서 태어난 반고가 하늘과 땅을 나누고, 그 뒤를 이어 여와(여신)가 인간을 빚는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압수와 티아마트가 최초의 신으로, 그 후손들이 세상을 다스린다. 인도의 베다 신화에서는 원초의 인간 푸루샤가 희생되어 세상의 모든 것이 만들어진다.
이처럼 세계 각지의 신화에서 태초의 신들은 혼돈에서 질서로 나아가는 첫 번째 존재이자, 자연과 인간, 신과 세계의 근원을 상징한다. 그들은 스스로를 낳거나, 자연의 힘에서 태어나며, 희생과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낸다. 태초의 신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음을, 그리고 모든 시작에는 혼돈과 가능성, 그리고 창조의 힘이 있음을 보여준다.
태초의 신들은 단순한 신화적 상상이 아니라, 인간이 “세상의 시작은 무엇인가?”라는 가장 근원적인 질문에 던진 철학적·인문학적 대답이다. “나는 어디에서 왔는가?”, “세상의 근원은 무엇인가?”, “모든 것의 시작에는 어떤 힘이 있었는가?” 이 질문들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태초의 신들은 우리 내면의 혼돈과 가능성, 그리고 새로운 시작의 용기를 상징한다.
최초의 신과 여신의 이야기는 세상의 모든 시작이 혼돈과 어둠,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빛과 생명의 이야기임을 일깨운다. 이 신화들은 오늘도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을 상상하라, 그리고 그 시작이 되어라”고 속삭이고 있다.
김현청 | Brian KIM, Hyuncheong
블루에이지 회장 · 서울리더스클럽 회장 · 한국도서관산업협회 회장
콘텐츠 기획자 · 브랜드 마스터 · 오지여행가 · 국제구호개발 활동가
E-mail: brian@hyuncheong.kim
이 사이트에 게시된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와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게시된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용하시려면 반드시 출처를 밝히고,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자의 서면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