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미래, 되찾는 상상력사라진 문명과 현대 문명의 연결고리 8
문명은 항상 자기 자신이 ‘영원할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정글 속에 파묻힌 마야, 소금기 어린 대지에 잊힌 수메르, 강의 흐름이 달라지자 무너진 인더스, 그리고 숲에 […]
문명은 항상 자기 자신이 ‘영원할 것’이라 믿는다. 그러나 정글 속에 파묻힌 마야, 소금기 어린 대지에 잊힌 수메르, 강의 흐름이 달라지자 무너진 인더스, 그리고 숲에 […]
한 사람이 돌을 들었다. 처음에는 깨기 위해서였다. 그리고 조금 뒤, 그것은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도구가 되었다. 인간은 그렇게, 도구를 통해 세계를 해석하기 시작했다. 청동의 […]
모든 문명이 소리를 남기려 했다. 금속을 두드리고, 신의 이름을 외치고, 왕의 권위를 조각했다. 그런데 인더스 문명은 달랐다. 조용했다. 그들에게 문명이란, 외치는 것이 아니라 살아내는 […]
인류는 언제부터 신을 만들었을까? 정확히는 모르지만, 신을 위한 공간을 만든 순간, 우리는 그 자리에 머무르고, 모이고, 경배하기 시작했다. 괴베클리 테페는 신의 형상을 새긴 최초의 […]
우리는 늘 시간을 말한다. 지금 몇 시인지, 며칠이 남았는지, 언제 시작하고 언제 마감해야 하는지. 하지만 묻지 않는다. 이 시간은, 누구의 시간인가? 문명이 시작되기 전, […]
인간은 언젠가부터 위를 올려다보기 시작했다. 별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었다. 누가 위에 있는지를 보기 위해서였다. 이집트의 사막 위에, 거대한 삼각형이 하늘을 향해 솟아 있었다. 피라미드. […]
기억은 언제부터 기록이 되었을까. 사람들이 바람을 따라 흩날리던 소문 대신, 무언가를 남기기 시작한 순간— 그때부터 세계는 말로만 존재하던 것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체가 […]
한때 인간은 별을 신이라 믿었고, 그 신에게 다가가기 위해 돌을 쌓고 언덕을 깎아냈다. 그곳이 바로 괴베클리 테페였다. 문명이 시작된 자리는 도시도, 농경지도 아니었다. 아직 […]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 이 생소한 지명은 이제 인류 문명사에 있어서 마치 지구 역사판의 페이지를 통째로 갈아엎는 존재처럼 다가온다. 고작 몇 세기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
수메르인들이 어떻게 인류 최초의 초고도 문명을 이룩했는지를 묻는 질문은, 단지 고대 문명의 유산을 묻는 것이 아니라 인간 지성의 기원, 조직화된 사회의 가능성, 그리고 창조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