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死後) 08] 당신이 지금 말하는 것이 당신의 영혼을 만든다말은 선언이며 구조이며, 죽음 이후를 설계하는 건축 언어다
인간은 말하는 존재다. 하지만 단지 소리를 내는 동물이 아니다. 인간은 말로 세계를 짓고, 말로 자신을 규정하며, 말로 영혼의 무늬를 새긴다. 말은 단지 의사소통의 수단이 […]
인간은 말하는 존재다. 하지만 단지 소리를 내는 동물이 아니다. 인간은 말로 세계를 짓고, 말로 자신을 규정하며, 말로 영혼의 무늬를 새긴다. 말은 단지 의사소통의 수단이 […]
우리는 종종 말한다. “그 사람은 이제 없어요.” 하지만 정말 그런가? 그가 남긴 말 한마디, 글 한 줄, 그의 웃음소리, 다툼 속에 남긴 단어들, 그 […]
죽음은 관계의 끝일까, 아니면 관계가 더 깊어지는 문일까? 사랑했던 이가 떠난 뒤에도 우리는 여전히 그를 말하고, 생각하고, 그리워한다. 그 사람의 이름은 우리의 일상 속에서 […]
사람은 죽는 방식으로 산다. 그리고 사는 방식으로 죽는다. 그의 말투, 그의 태도, 그의 신념과 상상, 그 모든 것들이 생의 끝자락에서 죽음 이후의 모양으로 응고된다. […]
십자가 위에서 ‘다 이루었다’고 말한 예수는,그저 개인 구원이라는 미시적 사명을 완수한 것이 아니다.그가 진정 ‘뒤엎고자 했던 것’은 당시 종교 권력과 결탁한 탐욕의 체제였고,돈이 곧 […]
인간은 단지 죽음을 두려워하는 존재가 아니다. 그는 죽음을 상상할 수 있는 존재다. 이 상상은 예언이 아니고, 망상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존재를 가늠하고 초월하는 유일한 […]
거울 앞에 선 나는 누구인가. 살아 있는 동안조차 나의 정체는 유동하고 변한다. 기억은 사라지고, 감정은 날마다 흔들린다. 그렇다면, 죽음 이후의 나 역시 나일 수 […]
어둠 속에서 누군가의 이름을 불러본 적이 있는가. 그 사람이 거기 있다는 확신이 없는 가운데, 우리는 말한다. “거기 있나요?” 이 말은 단순한 질문이 아니다. 그 […]
죽음은 언제나 타인의 일처럼 보인다.장례식장에서 울고 있는 이들도 실은, 자신이 슬픈 것이 아니라그 사람의 죽음이 자신에게 말해오는 메시지 앞에서 당황하고 있을 뿐이다.죽음은 단지 그 […]
죽음 이후의 세계는 단지 신학적 교리나 환상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살아 있는 동안 내가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고, 믿고, 말하고, 살았는가에 따라 형성되는 하나의 존재적 결산이며,
내가 그린 풍경, 내가 믿은 질서, 내가 입에 담은 언어들이 결국 사후의 세계를 짓는다는 철학적 선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