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쓰담쓰談

격이 다른 사람들의 18가지 습관조용하지만 확실한 품격의 신호들

격(格)은 목소리를 높이지 않는다.
품격 있는 사람은 뭔가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작은 행동 하나하나에 다른 결을 가진 사람이다.

그들은 과시하지 않는다.
대신, 무심한 듯 단정한 태도로 주변을 편하게 만든다.
눈에 띄기보단, 눈에 밟히는 사람들.

두 사람이면 길이 바뀌고, 풍경이 달라진다함께 살 사람을 고른다는 것은 미래의 기상도를 선택하는 일

한 사람을 맞아들이는 순간, 미래의 좌표가 새겨진다. 당신의 작품이든, 당신의 평온이든 결국 그 사람과의 호흡으로 완성된다. 길 위에 서서 묻자. “이 사람과 걷는다면, 내 길은 더 멀리, 더 깊이 나아갈 수 있을까?”

의미가 북극성이라면, 인연은 별똥별처럼 따라온다사람을 좇는 발걸음은 지치지만, 의미를 좇는 발걸음은 깊어진다

의미를 좇는 삶은 쉽지 않다. 기존의 안전지대를 포기하고, 낯선 길을 걸어야 한다. 하지만 그 길 위에서만 우리는 진정한 자유와 충만함을 경험할 수 있다. 북극성을 잃지 않는 항해사처럼, 의미라는 나침반을 가진 사람은 어떤 바다에서도 길을 잃지 않는다.

웃음 뒤에 숨은 것들교언영색

교언영색(巧言令色)은 아첨하는 말과 가식적인 태도를 뜻한다. 경영자의 자리에서 보면 교언영색은 순간의 호감을 얻을 수는 있어도 성과와 신뢰를 만들지 못한다. 꾸며낸 언어가 아니라, 불편하더라도 진실된 말과 실행이 조직을 살린다.

이름이 남고, 이름이 책임이 된다평판은 거울이 아니라 그림자다

평판은 거울이 아니다. 거울은 지금의 얼굴만 비추지만, 평판은 뒤에서 따라오는 그림자처럼 과거·현재·미래를 한꺼번에 품는다. 낮의 태양 앞에서는 선명하게, 밤의 가로등 아래서는 길게 늘어져 우리의 행보를 설명한다. 그러니 자기 이름 위에 얹을 다음 발걸음을 고르는 일—그게 바로 책임이다.

인(仁) ― 사람 사이의 따뜻한 숨결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마음

인(仁)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근본 덕목이다. 공자는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 했고, 이는 감정이 아니라 실천이다.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간디의 비폭력 운동은 인을 실천한 역사적 장면이다. 인은 공감이며, 의(義)와 함께 인간 사회를 지탱하는 두 축이다. 인은 멀리 있지 않다. 가장 가까운 이에게 건네는 태도 속에서 시작된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