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자본주의

돈이라는 지도, 삶이라는 목적지우리는 무엇을 위해 돈을 버는가, 돈은 우리를 어디로 데려가는가

우리는 ‘부유한 사람’이 되는 것과 ‘풍요로운 삶’을 사는 것을 구분해야 한다. 부유함이 소유의 양으로 측정된다면, 풍요로움은 경험의 질로 측정된다. 당신의 돈이 당신의 삶을 어디로 이끌고 있는가? 당신은 지금 목적지를 향해 지도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가, 아니면 지도 더미 아래에 깔려 숨 막혀 하고 있는가. 미다스 왕이 뒤늦게 깨달았던 것처럼, 진정한 부는 황금을 만지는 손이 아니라 사랑하는 딸의 온기를 느낄 수 있는 손에 있다.

주식회사 기독교, 그 눈부신 변신의 역사한국 기독교회는 '재벌(Chaebol)'이 되었다.

리처드 헬버슨은 교회가 그리스에서 철학, 로마에서 제도, 유럽에서 문화, 미국에서 기업이 되었다고 통찰했다. 이는 복음이 시대와 지역의 지배적인 시스템에 맞춰 자신을 변화시켜 온 역사다. 이 관점을 확장하면, 한국에서 교회는 각종 자회사를 거느리고 족벌 경영 행태를 보이는 ‘재벌(Chaebol)’이 되었다. 영적 가치보다 외형적 성장을 중시하는 재벌의 논리가 신앙의 영역을 잠식한 현실은, 교회가 본질을 잃고 시스템만 남은 것은 아닌지 유머와 아이러니를 통해 성찰하게 한다.

마음의 저울, 가심비숫자를 넘어선 가치의 연금술

‘가심비’는 가격 대비 성능을 따지는 ‘가성비’를 넘어, 개인의 심리적 만족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다. 이는 효율과 기능만으로 평가되는 사회 구조 속에서 자신만의 가치와 의미를 찾으려는 현대인의 욕구를 반영한다. 소비를 통해 정체성을 표현하는 현상이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의 정교한 마케팅에 의존하는 환상일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러나 윤리적 소비, 가치 지향적 선택으로 확장될 때, 가심비는 ‘나는 어떤 사람으로 존재할 것인가’라는 실존적 질문에 대한 주체적 답변이 될 수 있다.

자본주의의 이기심, 어떻게 선을 낳는가?기업윤리와 이해타산의 역설적 공존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이기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그 이기심이 사회적 선을 낳는 역설적 구조를 가진다. 오늘날 기업 윤리는 선택이 아닌 생존의 전략이며, 윤리적 행동은 단순한 ‘착한 척’이 아니라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이윤을 위한 윤리가 사회를 지탱하는 현실에서, 우리는 기업 윤리의 새 기준을 고민해야 한다.

이기적 유전자와 자본주의의 본질우리는 이기적이라서 경쟁하는가, 경쟁해서 이기적이 되는가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는 생물학 책이지만,그 한 권이 만들어낸 문명적 파장은마치 자본주의의 교과서처럼 기능해왔다. “우리는 이기적으로 설계되어 있다.”“모든 생명은 자기 복제자의 생존을 위한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