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진 것 앞에서 도망치는 법부터 배운 세대에게당신의 손은 무기보다, 도구에 익숙해야 한다
무기보다 도구에 익숙한 사람이
사람을 살린다.
고치는 사람은 부수지 않는다.
그는 다듬고, 덧붙이고, 다시 세운다.
망가지지 않는 집은 없다.
문제는
그 집을 ‘누가’ 어떻게 고치느냐다.
무기보다 도구에 익숙한 사람이
사람을 살린다.
고치는 사람은 부수지 않는다.
그는 다듬고, 덧붙이고, 다시 세운다.
망가지지 않는 집은 없다.
문제는
그 집을 ‘누가’ 어떻게 고치느냐다.
시간을 지킨다는 건
기회를 지키는 일이다.
당신의 가능성을 보존하는 전략이다.
오늘 당신은
시간을 쓰고 있는가?
아니면 시간에게 끌려가고 있는가?
이성의 설계도 위에 감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 그것이 마케팅, UX, 영업, 조직, 정책 어디서나 통하는 인간 중심 전략의 핵심이다.
광고문구든, 영업제안이든, 사람을 움직이는 말은 결국 ‘이성’이 아니라 감정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중 “손실을 피하고 싶은 감정”은 가장 강력한 트리거다.
손실 회피 편향은 단순한 심리 현상이 아니다.
식사는 의식이다.
몸을 위한 의식,
정신을 다듬는 루틴이다.
그 한 끼를 스스로 준비할 수 있다면,
당신은 자기 삶의 주방장이자
자기 감정의 조리사가 될 수 있다.
사람은 실수로 미워지지 않는다.
그러나 “말을 안 지키는 사람”은
다시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말은 무기이기도 하고, 방패이기도 하다.
그 무게를 아는 사람만이
가볍지 않은 삶을 살아낸다.
법률통치는 권력의 도구로 법을 쓰는 방식이고, 법치는 권력을 법으로 구속하는 원리다. 한국은 헌법상 법치국가지만, 정치·행정 현장에서는 여전히 법률통치적 관성이 남아 있다. 민주주의는 이 경계를 지키는 데서만 살아남는다.
르네상스 이후의 인류는 신 중심의 질서에서 이성 중심의 사회로 이동했지만, 20세기와 21세기에 들어 감정과 해체의 물결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한국은 이 변화를 압축 경험하며 공통 언어를 잃어가고 있다. 해법은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이성과 감정, 다양성과 공통성의 새로운 균형을 세우는 일이다.
권의 오남용은 조용히 시작되고,
멈추기 전까지는 더 큰 힘을 요구한다.
멈추는 법을 모르는 손에 쥐어진 권은,
언제나 타인을 짓누르는 추(錘)가 된다.
성경 속 법 어김이 던지는 메시지는 단순한 반항의 권유가 아니다. 그것은 법의 문자를 절대시하지 말고, 법이 존재하는 목적을 보라는 초대다. 우리는 법을 따라야 한다. 그러나 법을 우상처럼 모셔서는 안 된다. 때로는 법을 어김으로써만 지킬 수 있는 가치들이 있다. 그리고 그 가치는 언제나 생명, 정의, 자유라는 더 큰 법 안에 있다.
법이 목적을 잃는 순간, 그것은 폭력의 다른 이름이 된다. 불복종은 파괴가 아니라, 잃어버린 목적을 되찾는 일이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 우리의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